한나라 친이계, 박근혜 책임론 거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24일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개표가 무산된 뒤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인 이학재 의원은 “박 전 대표는 무상급식은 지방자치단체마다 사정이 다르니 각 단체의 상황에 맞게 해야 하고, (서울시는) 시민이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혀 왔다”며 “이는 결과가 나오는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의미 아니겠느냐”라고만 했다.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도 “국민투표도 아닌데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 때마다 일일이 입장을 밝히긴 어렵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주민투표 거리 두기’에 대해 한나라당 내 친이명박계와 오세훈 시장 측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오 시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까지 박 전 대표에게 손을 내민 만큼 박 전 대표가 도와줬다면 개함도 못 하는 사태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란 얘기다.

 친이계 신지호(서울 도봉갑)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도와주지 않은 것을 두고 지역에서 비판하는 이가 많다”며 “친박근혜계도 사실상 (투표 지원에) 손을 놓고 있었던 만큼 개표 무산 ‘책임론’에 휩싸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 시장의 측근도 “박 전 대표와 친박계가 민주당의 무상급식을 막아 줬다면 내년 총선·대선에서도 무상의료 같은 민주당의 각종 무상 시리즈에 대항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친박계인 구상찬(서울 강서갑) 의원은 서울시내 한나라당 48곳의 당협위원장 중 친박계가 맡고 있는 네 곳(서초갑·강서갑·서대문갑·도봉을)의 투표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거론하며 “친박계도 열심히 뛰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서울시 측이 당과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결정해 시작된 일인 만큼 친이·친박계나 당 지도부에 책임을 물을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은 “사실 이번 투표는 ‘오세훈에 의한, 오세훈을 위한 투표’였다”며 “박 전 대표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은 농촌 지역이어서 무상급식이 필요한 곳도 있는데 박 전 대표가 어떻게 직접 무상급식 반대 목소리를 낼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전 대표는 서울 삼성동에 자택이 있긴 하지만 주소는 지역구인 대구 달성으로 돼 있어 이번 주민투표엔 투표권이 없었다.

 백일현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1952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前] 인천시서구 구청장

1964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前] 인천시서구 구청장

1964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現] 한나라당 부대표(총무담당)

1963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1957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