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돼지 수매중단…구제역 '님비'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방자치단체들이 구제역 발생 주변지역의 가축 도축을 거부하거나 반입을 막아 축산농가의 시름을 더하게 하고 있다. 구제역 등 괴질 불똥이 튈까 우려한 '님비(NIMBY〓우리 지역에서는 안된다)' 현상이 일고 있는 것이다.

충남 홍성군은 6일 군내에서 출하된 돼지를 지정 도축장이 있는 예산.부여.논산.천안.당진.서산.아산 등으로 반출하려 했으나 무산됐다. 예산군 등이 돼지 반입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여파로 홍성군의 돼지 수매가 6일부터 전면 중단됐다.

충북 청원군도 축산물 가공공장인 한국냉장 중부공장에 공문을 보내 홍성지역의 돼지고기 반입을 거부하도록 요청했다.

구제역이 발생한 홍성군에서는 하루평균 2천5백마리의 돼지가 출하되고 있는 대규모 축산단지인 데도 불구하고 경계지역 내에 2곳의 도축장만 있을 뿐이다. 축산물 가공시설은 한곳도 없다. 그나마 도축장 2곳의 하루 도축 용량은 8백마리밖에 안된다.

이 때문에 타지역 도축장이나 고기.부산물처리시설을 이용하지 않으면 가축 유통 길이 막힐 수밖에 없다.

농림부는 홍성지역에서 이미 도축된 돼지조차 처리되지 못하자 경기지역 한국냉장.신광유통 등 6개 냉동보관소를 돼지고기 처리장소로 추가 지정했으나 이 역시 경기도민 반대로 반입이 안되고 있다.

돼지 부산물(뼈.머리 등)처리문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충남 홍천.중앙산업에서 도축한 뒤 발생한 부산물(3t)은 해당 도축장 인근 빈터에 방치해둔 상태다.

제주도는 구제역이 발생한 충남뿐 아니라 육지의 모든 쇠고기와 돼지고기 부산물을, 전북도는 충남산 가축의 반입을 중단시키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돼지고기 수매시 검사 등을 통해 질병에 감염되지 않은 것을 수매토록 하고 있으나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수매가 늦어지고 있다" 며 "자치단체까지 나서 반입을 막을 경우 이 지역 축산농가들은 살 길이 막히게 된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