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목·가슴 부위별 여드름 관리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고 이미 얼굴에 자리 잡고 있는 여드름과 가슴이나 등 부위에 울긋불긋한 여드름 때문에 고민인 여성들이 많다. 피지의 과잉 생산과 피지 안의 세균 증식 등을 원인으로 얼굴뿐만 아니라, 등이나 가슴에도 울긋불긋 여드름이 솟아올랐다면 어떤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

우선, 얼굴에 난 여드름은 손톱 등으로 여드름을 짜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여드름을 심하게 악화시키고 얼굴을 흉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붉게 올라온 여드름은 일단 가라앉히는 것이 급선무인데, 짜게 되면 염증이 심해지고 노랗게 고름이 잡혀 있는 깊은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이럴 땐 먼저 모공 속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노폐물을 제거해야 한다. 피부과에서 여드름을 짜고, 여드름 물약을 처방 받아 사용하는 것이 흉터를 남기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도 잊지 말아야 한다. 여드름이 나는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으면 쉽게 그을리고 노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등 부위는 피지 분비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 중에서 여드름이 생기기 가장 쉽다. 손이 닿지 않아 목욕 중에도 깨끗이 닦지 못하는 것도 요인이며 수면 중에 땀이 잘 차고 침구와 마찰이 많은 것도 악화 요인이 된다. 등은 피부와 각질이 두꺼운 부위이므로 조금 따뜻한 물로 닦아내고 세정력이 보다 강한 비누를 쓰는 것이 좋다. 일주일에 한번은 바디 스크럽제를 사용해 딥 클렌징을 하도록 하며 잠옷이나 침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세 번째로, 목 여드름은 딱딱하게 자리 잡게 되면 반흔성 여드름으로 발전해 흉터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유분이 많은 샴푸나 린스의 사용이나 목걸이, 머플러, 셔츠 형 옷 등의 착용은 피해야 한다. 얼굴 세안과 마찬가지로 목 여드름도 손바닥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비누거품을 내어 닦고 깨끗한 물로 철저히 씻는다.

조희령 피부과 전문의에 따르면 “여름이 다가 오면서 그 동안 숨겨왔던 등 여드름이나 가슴에 난 여드름 때문에 피부과를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며 “여드름을 치료하는 최상의 방법은 개개인의 여드름 상태와 원인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여 치료하는 것이며 의료진의 여드름 치료에 대한 정성스런 시술과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고 전했다.

■ 정리 : 정은진(j2lleunjin@jcubei.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