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자동차부품업체 3총사 지역경제 살릴 성장 동력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대구는 자동차부품 도시다. 섬유산업이 쇠퇴하면서 기계·금속 등 자동차부품 관련산업이 부상하고 있어서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역에는 1521곳의 기계·금속 등 자동차 관련업체(10인 이상 기준·2009년)가 있다. 전체 제조업체 2869곳의 53%다. 이들 업체가 만들어 내는 부가가치는 3조9000억원으로 전체의 55.4%에 이른다. 이에 따라 시는 무인운행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지능형 자동차부품산업을 키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24일 대구의 자동차부품업체 세 곳이 지식경제부의 ‘World-Class 300’ 프로젝트의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선정된 업체는 캐프·에스엘·상신브레이크다. 이는 지경부가 2020년까지 300개 중소·중견업체를 뽑아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첫 모집에서 전국 148개 기업이 지원했으며 이 중 30개 업체가 최종 선정됐다. 2016년까지 매년 50~60개씩 270곳을 추가로 선발된다.


 캐프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시스템을 생산하는 업체다. 543명의 직원이 지난해 504억51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국내 와이퍼 시장의 62%를 점유하고 있다. 에스엘은 헤드램프와 새시 및 조향기기를 생산한다. 국내 시장의 75%를 점유할 정도로 경쟁력이 뛰어난 업체다. 상신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와 라이닝 등을 생산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은 50%다. 이들 업체는 국내 현대·기아는 물론 도요타·GM 등 세계적인 완성차 업체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선정 업체에는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정부는 해당 업체에 연구·개발(R&D) 자금으로 최대 5년간 100억원을 지원한다. 맞춤형 마케팅 전략 수립을 도와주고 해외마케팅 업무도 직접 지원한다.

 캐프의 옥선표 사장은 “정부 지원을 받아 새로운 기능을 가진 와이퍼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해외시장 개척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어 회사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겼다.

 지경부는 선정 기업의 지원을 위해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수출입은행·산업기술연구회 등 12개 기관으로 지원기관협의체를 구성했다.

 앞서 대구시는 ‘월드 클래스’ 기업 선정이 지역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6개 업체에 신청서를 내도록 했다. 시는 전문가를 동원해 신청서와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보완토록 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지경부는 신청 업체의 기술력·시장확대·경영혁신·투자 등 종합적인 성장전략의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분야별 면담을 통해 평가했다.

 대구시 안국중 경제통상국장은 “지역의 많은 기업이 월드 클래스 기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앞으로 이들 기업이 대구의 경제를 살리는 견인차 구실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캐프와 에스엘은 대구시의 ‘스타기업’으로 지정돼 있다. 시는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기업을 지원하는 ‘스타기업’ 제도를 만들어 2007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현재 85개 업체가 지정돼 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