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교관 ‘충성자금’ 못내 체면 불구하고 이렇게까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 외교관이 체면에도 불구하고 불법행위를 그만두지 않는다. 위조지폐 유통ㆍ담배 밀매ㆍ불법 카지노시설 대여에 이어 차량 밀수까지 업종도 가리지 않는다. 계속되는 감시와 적발에도 불법행위가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충성의 당자금’을 보태야 하기 때문이다.

해외로부터의 차량 밀수 사건을 조사하던 인도 국세정보국(DRI)이 뉴델리 주재 북한대사관의 연루 정황을 포착해 수사를 하고 있다고 현지 일간 인디언 익스프레스가 17일(현지시간)보도했다. 도난차량 밀수범 수미트 왈리아(32)가 뉴델리 주재 북한ㆍ베트남 대사관의 고위 관리들을 자신의 범행에 끌어들여 명의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노동당 계획안에 명시된 ‘충성의 당자금’을 바치기 위해 이같은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추정된다.

당에서 요구하는 당자금 성과를 채우지 못하면 평양으로 소환돼 “충성심이 부족하다”는 질책을 받는다. 액수가 턱없이 부족하면 출국 금지를 당할 수도 있다. 이미 ‘외국물’을 먹은 대부분의 외교관은 해외에서 거주하길 원한다. 당자금을 마련하면서 일부 차익을 착복해 뒷주머니를 채울 수 있다. 이 때문에 필사적으로 자금을 마련해 북한으로 송금한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같은 소식을 전하면서 "외교관 생활이 쉽지만은 않다"고 지적했다. 각 국의 경우 외교관의 해외 체류비를 본국에서 지원하지만 북한은 다르다. 체류비는 커녕 본국까지 먹여 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외교관들의 외화벌이 강도는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다.

이지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