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담보로 자금 구하는 금융기법 … 최근 부실 늘어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14호 24면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가 사업자의 자산이나 상환 가능성이 아니라 사업자가 추진하는 프로젝트 자체의 장래 수익성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법을 말한다. 항만·도로 같은 사회간접자본 건설이나 부동산 개발 등에 많이 쓰인다. 원래 PF는 그리스·로마 시절 선박 투자에서 비롯됐다. 선박과 화물을 담보로 운영자금을 빌려줬다가 무역이 성공하면 수익금을 나누는 형태다. 배가 난파하거나 무역에서 손해를 보면 빌려준 돈을 날릴 수 있지만 성공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 high-return)’ 투자 방식이었다. 근대에 와서는 파나마 운하가 PF를 통해 건설됐다. 20세기 초 미국의 원유 개발과 1970년대 북해 유정 개발에 이 방식이 쓰이면서 널리 알려졌다. 최근에는 중동 등에서 사회간접자본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많이 활용한다.

알기 쉬운 경제용어 프로젝트 파이낸싱(PF·Project Financing)

국내에선 2006년 이후 금리가 낮아지면서 수익성 좋은 투자처를 찾던 제2금융권이 부동산 PF 대출에 적극 뛰어들었다. 하지만 그 뒤 부동산 경기의 침체로 PF 대출이 부실화하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하반기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규정을 강화했다. 원래 PF 대출은 전체 대출의 30% 이하로 유지해야 했지만 올 7월부터는 25% 이하, 2013년 7월에는 20% 이하로 낮춰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올 1월 삼화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했다. PF 대출이 부실화되면서 파산 위기에 몰렸기 때문이다. 2월에는 부산저축은행 등 7개 저축은행의 영업이 추가로 정지됐다. 살아남은 저축은행들은 필사적으로 PF 대출 회수에 나섰다.

불똥은 건설회사로 튀었다. 대부분의 건설사가 PF 대출에 지급보증을 서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LIG건설 등에 이어 이달 들어서는 흑자를 내던 삼부토건·동양건설산업이 잇따라 손을 들면서 충격파가 커지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PF 대출을 회수하거나 추가 담보를 받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건설업체들은 “한 번의 연체조차 없는 업체까지 PF 대출 만기가 돌아오면 예외 없이 전액 상환을 요구해 견딜 수가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상위 10대 건설사의 PF 대출 보증 규모는 22조원이 넘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