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고학년생 수학 서술형 평가 대비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간고사 대비에 한창인 학생들에게 서술형 평가는 여전히 넘어서야 할 벽이다. 특히 수학과목 서술형 문제는 답을 풀어내는 문제 해결과정을 평가해 학생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초등 고학년 수학 서술형 평가 출제 예상 문항과 그 해결 방법을 살펴본다.

 “나중에 답을 보면 다 아는 문제인데 풀이과정을 쓰라고 하니까 더 어려운 것 같아요. 답은 맞았는데 과정을 제대로 쓰지 못해 감점을 많이 당하는 게 너무 속상해요.”

 이지현(경기 수내초 6년)양은 이번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데 고민이 많다. 지난 시험에서 내심 자신있어하던 수학과목에서 성적이 좋지 않았다. 서술형 문제에서 감점을 당했기 때문이다. 이양은 풀이과정에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내용을 써 감점을 당했다. 학원에서 선행학습을 많이 하는 학생들이 흔히 겪는 실수다. 예를 들면 4학년 학생이 아직 배우지 않은 ‘미지수’ 개념을 써서 답을 구하는 경우, 교육과정과 맞지 않는 풀이과정이라는 이유로 감점을 당하는 것이다.

 수학 이러닝 사이트인 신사고피클 이현진 강사는 “해당 학년에 맞는 개념 학습이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며 “문제집의 해설을 따라 적으면서 문제 해결 접근 방식과 전개 구조를 숙달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가 계산과정만 적는 것”이라며 “이미 아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풀어 쓰는 연습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괄호와 같은 부호나 수학 기호 등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 신정초 김유경 교사는 “많은 학생들이 수학기호를 잘못 쓰는 바람에 감점을 당한다”며 “정확한 풀이과정을 쓰는 연습을 많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사는 이어 “문제가 길기 때문에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은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 힘들다”며 “장기적으로 많은 독서를 통해 문장 이해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혁 기자 mytfac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