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내 위성산업 인프라구축 시급

중앙일보

입력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의 성공적 발사를 계기로 인공위성 관련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위성산업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일고있다.

국내에서 오는 2020년까지 쏘아질 인공위성은 지구관측위성, 군사위성, 과학위성, 항법위성 등 총 30여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나 전문인력과 우주발사장등의 기반은 극히 취약한 실정이다.

특히 정부의 우주산업 중장기개발계획이 연구개발에만 치중돼있어 인력양성이나 산업체 육성이 소홀히 다뤄지고 있으므로 국내 위성산업의 균형발전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항공우주연구소와 전자통신연구원이 지난 11월 발표한 `통신위성 국산화 개발기반연구'' 잠정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위성수요가 통신방송위성의 경우 오는 2005년부터 위성채널 수요가 급증, 2025년까지 민간용 9개, 군용 2개 등 총 11개 위성을 필요로 하고 있어 2∼3년에 1개씩 위성을 발사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도 오는 2015년까지 다목적 실용위성, 과학위성, 지역통신위성 등 모두 19기의 국내개발 위성을 발사하는 것으로 돼있다.     

그러나 국내 위성관련 인력은 출연연, 일반 기업체, 대학 등을 다 합쳐도 총 600여명에도 못미치고 있으며 그나마 항공관련 3사의 통합으로 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인력이 대거 이탈, 국내 전 산업체의 위성관련 인력이 일본의 1개 기업에도 못미치는 실정이다.

더욱이 IMF이후 위성사업에 나섰던 대다수 업체들이 사업을 포기했으며 관련산업의 빅딜 등으로 기업의 연구개발능력은 사실상 붕괴된 상태다.

항우연 및 관련업체 관계자들은 ''아리랑 2호가 발사될 예정인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독자 위성개발을 위한 기술인프라가 확충돼야 한다''면서 ''현재 진행중인 아리랑2호, 과학위성1호, 3단형 액체로켓 등과 통신방송위성 국산화사업, 우주센터 건립 등의 실용급 설계 및 개발기술 확보에는 문제가 없으나 전문인력 양성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부는 인공위성사업의 중복추진을 막고 전문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KAIST 인공위성센터와 항우연을 통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런 계획에 반발해 오히려 KAIST 인공위성센터의 고급인력이 대거 이탈할 조짐을 보이는등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인공위성 전문가들은 ''최근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에서 전액 삭감됐던 우주발사장의 기본설계및 실시설계 비용으로 10억원이 새로 배정되고 이달초 열린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국가위산하에 우주개발전문위원회를 설치키로한만큼 시급히 인공위성산업관련 인력양성및 기반시설구축등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