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잡지 '젊은 과학자 1백명' 선정된 임호상씨

중앙일보

입력

미국 제록스 팔로알토연구센터(PARC) 의 임호상(34.마크 임) 박사가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가 발행하는 과학기술지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TR) '' 가 선정한 ''차세대 젊은 과학자 1백명'' 에 올랐다.

TR는 창간 1백주년을 기념, 하드웨어.소프트웨어.생명과학.월드와이드웹(WWW) .재료과학 등 5개 분야에서 전세계 35세 이하(2000년 1월 1일 기준) 의 젊은 과학자 중 21세기를 선도할 1백명을 최근 선정, 발표했다.

87년 존스 홉킨스대를 졸업하고 94년 스탠퍼드대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임박사는 현재 ''모듈 로봇'' 이라는 일종의 ''합체 로봇'' 을 연구하고 있다.
그의 연구가 완성되면 대량생산으로 로봇의 단가가 훨씬 낮아지면서 서로 다른 기능의 로봇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더 큰 로봇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결국 로봇 상용화의 길이 앞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TR는 "임 박사는 표준화된 모듈을 결합시켜 적절한 모양의 큰 로봇으로 만드는 모듈 로봇연구에서 가장 앞서 있는 과학자" 라고 소개했다.

임 박사는 스탠퍼드대 대학원 시절 두가지 형태의 모듈을 결합시켜 애벌레처럼 기어서 이동할 수 있는 ''폴리포드(Polypod) '' 라는 로봇을 개발했다.
제록스사로 와서는 후속모델인 ''폴리보트(Polybot) '' 를 만들었다.

폴리보트는 평평한 곳에서는 둥근 고리모양이었다가 장애물이 나타나면 스스로 벌레모양으로 변신, 장애물을 통과한다.

하지만 임 박사의 목표는 보다 원대하다.
수백~수백만개의 작은 로봇을 결합시켜 스스로 원하는 모양으로 변신할 수 있는 로봇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임 박사는 "미래의 로봇은 현재 많은 사람들이 상상하는 사람 모양의 로봇 등과는 크게 다를 것" 이라며 "임무에 따라 스스로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로봇이야말로 궁극적인 로봇의 모습" 이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