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가격·환율 … G20 재무 회의 ‘뜨거운 이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주요 20개국(G20) 회의 의장국인 프랑스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재무장관이 18~19일 파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앞서 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발표를 듣고 있다. [파리 로이터=연합뉴스]

18~1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선진국과 신흥국의 대립 구도가 다시 형성될 전망이다.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는 16일(현지시간)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5개국이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회의 기간에 따로 만나 세계 경제 불균형과 1차 상품 가격 통제 등의 문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G20 내에서도 선진국과 신흥국의 입장차가 큰 만큼 브릭스 개별 회동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의 위안화 절상 등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선진국과 다른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있다. 기두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중국에 환율 압박을 가하기로 미국과 합의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며 “브라질 정부는 위안화만큼이나 미국 달러화의 평가 절하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진국과 신흥국의 입장차에도 불구하고 회원국은 상품가격 상승과 국가 부채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입수한 G20 회의 성명서 초안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유로존 부채 위기와 환율정책, 금융규제, 경제회복을 위한 협력 등이 주요한 이슈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달러 중심의 기축통화체제 개편과 글로벌 안전망 구축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초안에서는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로 상품 가격 상승과 신흥국 경제의 과열 가능성, 선진국의 국가 부채를 지목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정지출 축소와 더 유연한 환율 체계, 구조적 개혁 등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글로벌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서울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경상수지 예시적 가이드라인(경상수지를 국내총생산의 일정 비율로 제한)’의 경우 회원국 간의 입장차로 구체화는 힘들겠지만 기준 지표 도출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의 의장국인 프랑스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재무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주요 가이드라인 리스트에 경상수지와 함께 저축·투자·환율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