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GM 등 현지생산 확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만리장성을 넘어라-.
세계 굴지의 다국적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 채비가 활발하다. 그동안 마련해 왔던 전략을 가다듬으며 경쟁사들의 동태를 면밀히 살피는 모습이다.

중국 시장에서의 한판 승부가 기존 시장판도를 뒤흔들 것이라는 판단이다.

세계 최대의 반도체 칩 제조업체인 인텔은 15일 중국 시장 공략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기로 결정했다. 인텔은 현재 연간 80억달러인 중국 반도체시장 규모가 수년내 세계 최대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텔은 2년 전 현지에 세워둔 조립라인을 시험 가동체제에서 대량 생산체제로 전환키로 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시장에서는 벌써 경쟁이 붙었다.
승용차 관세가 현행 80~1백%에서 2006년부터 25%로 낮아지는 만큼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GM)는 지난달 중국의 차이나상하이 자동차와 합작해 15억달러 규모로 설립한 현지 회사를 수출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현지 장링 자동차와의 합작회사에 30%의 지隙?투자하고 있는 포드도 합작투자 소유한도가 없어지는 만큼 지분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보잉사는 향후 20년간 대 중국 매출이 1천2백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필 콘디트 회장이 조만간 중국을 방문하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중국에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보험회사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IG)은 경쟁사들의 중국시장 진출이 잇따를 것으로 보고 점포망 확대 등 공격적인 전략 마련에 나섰다.

일본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질 전망이다.
가장 기대를 거는 분야는 정보통신. 중국내 전화 가입자수가 최근 5년 사이 3배로 늘어난 데다 2년 후에는 이 분야 외국인 투자가 50%(휴대용전화는 51%)까지 허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일본전신전화(NTT)와 KDD는 최근 중국에 엔지니어링 회사를 설립, 미.중간 해저케이블 건설에 참여하는 등의 포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마크 디시전 이코노믹스의 수석연구원 래리 호위츠는 "다국적 기업들이 사회.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이익을 실현하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걸릴 것" 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