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교 필수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이수하도록 교육 과정을 개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주변국과 역사 왜곡 분쟁이 심화하는 상황임을 고려해 한나라당이 제시한 한국사 필수화 방안을 수용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키우고, 독도 문제와 천안함·연평도 사건 등 최근 전개되는 주변 상황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고교 등에서 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과 교과부는 27일 김황식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고위당정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정책위원회는 26일 2012학년도 고교 입학생부터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이수하는 방안 등을 담은 ‘역사 교육 강화 로드맵’을 마련했다. 심재철 정책위 의장은 “현재 대부분의 고교에서 한국사를 개설하고는 있지만, 장기적으론 한국사를 편성하지 않는 학교가 생길 수 있는 구조”라며 “한국사를 필수 이수 단위로 지정해 역사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과 교과부는 역사 교육의 수준을 높이고 교과서의 검정과 집필 기준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긍정적이면서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강화하고, 쉽고 재미있는 교과서를 개발하는 작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다음 달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또 오는 6월부터 6개월간 국가의 정체성과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교과서 검정 및 집필 기준을 점검하기로 했다. 2013년부터는 교원 임용시험에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인증(3급 이상)을 받은 사람만 응시할 수 있게 하고, 대학 입학 전형에 한국사를 반영하도록 권장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한편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이날 초·중·고교 과정에 역사 교육을 의무화하고, 대학 수학능력시험과 국가공무원 임용시험에 역사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초중등교육법·고등교육법·국가공무원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김승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