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치아 틀니, 틀니 관리의 중요성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나이가 들면서 치아가 상실된 경우 혹은 사고나 관리소홀로 인해 여러 개의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에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구조물을 틀니라고 한다.

틀니는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결정되는데 건강하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틀니 관리법에 대해 김종엽 원장(압구정 스마트치과)에게 물어보았다.

틀니의 잘못된 사용은 입에서 냄새가 나고 잇몸에 염증과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단순히 구강내의 손상으로 끝나지 않고 잘못된 관리로 인해 전신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김종엽 원장(압구정 스마트치과)은 “구강건강이 좋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식습관 변화로 영양불균형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으며 씹는 기능이 줄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틀니를 착용하는 노인들의 경우 구강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전신건강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틀니는 아크릴 재질로 돼 있어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세균과 곰팡이가 자라 구내염, 구취 등 구강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틀니세정을 소홀히 해서는 안되며 착용자가 실천하기에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틀니를 사용하는 사람은 6개월에 한번씩 치과 검진을 꼭 받아야 한다. 틀니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관리하는 방법도 치과에서 가르쳐주는 대로 따라 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틀니 관리법
첫째, 효율적인 구강위생 및 틀니 장착 습관을 들이기 위해선 식사 후 틀니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우선 식사 후에는 반드시 입안을 헹궈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하고 부드러운 칫솔이나 일반 칫솔을 이용해 잇몸을 마사지해 주는 것이 좋다.

둘째, 틀니는 주성분이 합성수지의 일종으로 뜨거운 열을 받거나 떨어뜨리면 변형되기 쉬운 만큼 뜨거운 물에 삶아서는 안 된다. 틀니는 건조해지면 모양이 변할 수 있으므로 찬물이나 세정제에 담근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는 개인 치아모형에 맞춰진 틀니가 자칫 변형돼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셋째, 특히 틀니를 끼기만 해도 잇몸이 붓고 피가 나거나 입안이 허는 것은 틀니가 잘 맞지 않는 것이므로 반드시 치과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닳아 없어져 잘 맞지 않는 경우나 잇몸이 변하여 잘 맞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따라서 최소한 6개월에 한번은 상태를 점검하고 변한 잇몸에 맞게 틀니를 수정하는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넷째, 많은 틀니 착용자가 치약과 칫솔을 이용해 틀니를 닦는다. 그러나 치약에는 연마제 성분이 들어 있어 강하게 칫솔질을 하면 틀니의 표면을 마모시키거나 흠집을 일으킬 수 있다. 또 흠집 속으로 세균이 번식하는 등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가능하면 틀니 전용 칫솔을 사용하도록 한다.

다섯째, 취침 시에는 틀니를 꺼내놔야 한다. 낮 동안 착용으로 피로해진 잇몸에 휴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꺼내 놓을 때는 가급적 공기 중에 놔두지 말고, 틀니 전용 세정제를 사용, 물속에 보관해야 한다. 공기 중에 놔둘 경우 청결에도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뿐더러 틀니가 변형되기 쉽기 때문이다.

내 치아에 꼭 맞춘 틀니! 제2의 치아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소중하게 잘 다뤄야 한다. 김종엽 원장(압구정 스마트치과)은 “치아를 상실한 경우에는 치과를 찾아 빠른 치유방법을 찾는 것이 비용적, 심미적, 건강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스마트 치과는 병원자체 내에 기공실을 갖추고 있어 빠른 틀니의 제작 및 수리가 가능하다고 하니 지금 부모님의 틀니 상태를 체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