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도 늙는다! 대표적 척추 퇴행성 질환 ‘척추관협착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가만히 있거나 누워있으면 허리가 아프지 않다는 거죠. 그런데 요즘엔 조금이라도 걷거나 무리하게 되면 허리보다는 다리가 더 많이 당기고 아파서 도저히 걸을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금천구에 사는 김모씨(50.남)는 1년 전부터 허리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하지만, 단순 근육통이라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으나 요즘 들어서 통증이 극심해지다 못해 수면에도 방해를 받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30분이상 걸을 경우 통증과 함께 다리에 힘이 빠져 제대로 된 보행조차 힘들어지게 되었다. 결국, 김씨는 척추전문병원을 찾았고 척추관협착증이라는 진단결과를 받게 되었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의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을 말한다. 척추뼈 안에는 척추신경이 자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있는데 디스크나 척추의 노화로 인해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뼈가 자라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김씨처럼 허리에서 나타난 통증이 휴식을 취하면 어느 정도 통증이 가라앉기 때문에 통증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렇게 병원을 찾지 않고 통증을 방치하게 될 경우에는 만성적인 허리 고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대소변의 장애가 오거나 하반신 마비에까지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척추관협착증은 조기진단과 치료과 중요하다.

금천구에 위치한 척추전문 의료법인 희명병원(이사장 최백희,,www.hopehp.co.kr) 신경외과 전문의 신정호 진료과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에 속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대부분이 고령층 환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치료방법을 선택할 때에 있어서도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환자분의 증상이 크게 심하지 않은 초기라면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6개월간의 보존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통증이 계속되거나, 초기 증상임에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와 나이 등을 고려하여 수술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라며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증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에 증상을 피하는 것은 어렵지만 척추의 퇴행화를 늦추는 것은 가능하다. 평상시에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거나 하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척추의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움말- 의료법인 희명병원(이사장 최백희,www.hopehp.co.kr) 신경외과 전문의 신정호 진료과장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