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남북한 공동조사 추진

중앙일보

입력

말라리아 등 법정전염병에 대한 남북한 공동조사사업이 내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8일 보건복지부 국감자료에 따르면 복지부는 "비무장지대(DMZ)
부근의 말라리아 감염원 제거와 모기 방제, 생태계 역학조사 등을 공동 실시하고 북한에 치료약 및 살충제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새해 예산안에 편성을 요구한바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말라리아가 매개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우리측의 방역조치만으로 어려우며 남북이 공동으로 방제활동을 실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립보건원 관계자는 "남북한 말라리아 공동조사사업을 위해 내년도 예산을 요구했으나 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남북협력기금에서 재원을 충당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말라리아 환자 현황은 공식 보고가 없으나 지난 5월 개최된 WHO총회에서 북측대표가 휴전선 인접 3개도에서 약 2천명이 감염됐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97년 북한이 WHO에 말라리아 1차 치료제인 클로로퀸 100㎏(4만명분)
을 요청한 사실로 보아 상당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말라리아는 93년 재유행하기 시작해 매년 3∼5배 증가, 지난해 환자 3천932명이 발생한 데 이어 올들어 8월말 현재 2천1명이 발병했으며 감염지역도 DMZ인근 파주, 연천, 철원 등에서 휴전선 동쪽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