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폐장 내고장으로 모셔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을 유치하려는 지자체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부가 최근 처리장 유치지역 지자체를 지원할 특별법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항.영덕.울진 등 동해안 지자체와 전북 군산시 등 일부 지자체와 주민들이 처리장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유치전 치열=정장식 포항시장은 지난 4일 처리장 유치를 적극 검토할 것을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처리장의 안전성과 유치할 경우 파급 효과 등을 분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처리장을 유치하면 한국전력 본사와 양성자 가속기 등의 유치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면서 "이렇게 되면 포항이 제2의 도약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 영덕군 남정면 주민 28명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유치 준비모임(위원장 최규한)을 구성하고 8일부터 주민 서명을 받고 있다. 최 위원장은 "정부가 법률로 파격적인 지원을 약속한 만큼 서둘러 유치작업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처리장 유치운동을 벌였던 울진군의 울진발전포럼도 다시 유치전에 나서기로 했다. 원전이 있는 지역인 만큼 이곳에서 나오는 중.저준위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울진발전포럼은 지난해 근남.기성면 주민 6114명 중 43.5%인 2657명의 서명을 받은 만큼 정부의 일정을 보고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2003년 상반기 신시도에 유치작업을 추진했다가 주민들의 반대로 포기한 군산시도 유치작업을 다시 추진한다. 후보지로는 '어청도'와 '신시도'등 두 곳이 검토되고 있다. 시는 6급 이하 직원들을 지난달 23일부터 오는 18일까지 2개 코스로 나눠 대전 원자력연구소와 영광 원자력발전소 등에 견학을 보내는 등 유치 준비에 나섰다.

◆정부 지원 어떤 것인가=정부는 처리장 유치지역 지원을 위해 지난 2일'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의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었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유치지역 지자체에는 3000억원의 특별지원금과 연간 50억~100억원의 폐기물 반입 수수료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해당 지역으로 이전한다. 직원 900여명인 한국수력원자력의 본사가 이전하면 해당 지자체는 주민세와 사업소세 등 연간 42억원의 세 수입이 예상된다. 산자부는 이 밖에 각종 국비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부가 혜택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11일 전문가 21명으로 부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달 말까지 부지 선정 절차.시기 등을 정할 계획이다.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고준위인 사용후 연료(우라늄)를 제외한 원전 폐기물. 원전의 사무실을 제외한 현장에서 착용하는 옷.덧신.모자 등 미세하게 방사능에 오염된 물질을 드럼에 담아 저장하는 시설이다.

대구=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