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 매주 2~3마리는 먹어도 해롭지않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낙지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먹는다면 얼마만큼만 먹어야 하나요.”

최근 낙지 머리에서 기준치를 넘는 카드뮴이 검출됐다는 서울시 발표 이후 낙지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서울시와는 반대로 낙지 전체의 카드뮴 함량은 높지 않다는 반박을 내놓으면서 더 헛갈리는 상황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국립수산과학원 등 식품안전기관과 중금속 전문가들은 대부분 “매일 두세 마리씩 낙지를 먹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다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카드뮴의 경우 일주일에 섭취해도 되는 허용량은 체중 1㎏당 7㎍이다. 체중이 60㎏인 사람이 카드뮴 함량이 ㎏당 1.2㎎인 낙지를 먹는다고 가정할 때 매주 낙지를 약 두 마리(350g)씩 먹어야만 카드뮴의 주간 섭취 허용량에 도달하는 셈이다. 설령 허용량을 약간 넘어섰다고 해도 별 위험은 없다.

문제는 하루에 두세 마리씩 매일 먹는 사람이다. 카드뮴은 체내에 쌓이면 단백뇨(단백질 성분이 다량 배출되는 소변)가 나타나며 혈압이 오르고 신장이 망가지게 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체중 1㎏당 매일 7.8㎍의 카드뮴을 45년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단백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식약청 이효민 박사는 “몸무게가 60㎏인 사람이 카드뮴 함량이 ㎏당 1.2㎎인 낙지(내장 포함)를 매주 약 14마리(2730g) 이상 먹어야만 단백뇨가 생긴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낙지를 이 정도로 먹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며 “일반인은 매일 한 마리 정도는 먹어도 문제없다”고 덧붙였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시행한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0.9g의 낙지를 먹는다. 또 낙지 섭취량이 상위 5%에 드는 사람도 하루 평균 섭취량은 1마리(164g) 정도다. 동아대 의대 홍영습 교수는 “낙지나 문어를 가끔 먹는 사람은 전혀 문제가 안 된다”며 “자주 먹는 사람이라면 머리(내장)에 카드뮴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식약청은 최근 카드뮴 논란과 관련, 낙지·문어 등 연체류는 물론 꽃게·대게 등 갑각류와 전복 등 패류에 대한 종합적인 중금속 오염실태 조사에 착수키로 했다. 국내산과 외국산별로 충분한 양을 수거해 검사 결과의 대표성도 확보할 방침이다. 식약청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전체 카드뮴의 41.4%를 김·미역 등 해조류에서 섭취하며 이어 어패류(33.4%)·채소(14%) 순이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