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꺼리거나 거리끼거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9면

“양심에 꺼리끼지도 않나!” 허물을 덮기 위해 거짓말로 일관하는 일부 정치인을 보면서 개탄하는 일이 잦은 요즘이다. 이때 마음에 걸려 께름칙하게 생각하다는 의미로 ‘꺼리끼다’는 말을 종종 쓰지만 ‘거리끼다’고 해야 어법에 맞다.

“마음에 전혀 꺼리낌이 없을까?’도 마찬가지다. ‘거리낌’으로 바루어야 한다.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려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꺼리끼다’ ‘꺼리낌’이란 단어는 없다. 개운치 않거나 언짢은 데가 있어 마음에 걸리다는 뜻의 ‘꺼리다’와 이의 명사형인 ‘꺼림’이란 말을 연상해 ‘꺼리끼다’ ‘꺼리낌’으로 사용해서도 안 된다.

“공자가 이르길 잘못이 있으면 반성하고, 남들이 알도록 드러내며, 고치기를 거리끼지 말라고 했다” “지혜로운 사람은 어려운 문제에 부딪혀도 미혹되지 않고,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은 걱정함이 없다”처럼 쓰는 게 바르다.

‘거리끼다’ ‘꺼리다’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는 ‘꺼림칙하다(=께름칙하다)’도 잘못 표기하는 사람이 많다. 흔히 “그를 신뢰하기엔 뭔가 꺼림직하다(께름직하다)”와 같이 쓰지만 매우 마음에 걸려 언짢은 느낌이 있다는 뜻의 말은 ‘꺼림칙하다(께름칙하다)’이다.

이은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