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지역, 동북아 경협 플랫폼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최근 중국 동북지역 방문을 계기로 창춘(長春)-지린(吉林)-투먼(圖們)을 잇는 ‘창지투(長吉圖)’ 개발이 관심이다. 두만강 유역 개발과 연결되는 프로젝트다. 중앙일보는 이 지역 개발이 동북아 경제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달 25일 한·중·일 경제 전문가들을 본사로 초청해 좌담회를 열었다. 본지 유상철 중국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창지투 개발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창지투 계획엔 동북지역의 물자를 북한의 나진·선봉이나 러시아의 자루비노항을 통해 외부로 반출하는 물류망 확보 전략이 포함돼 있다. 석탄이 첫 대상이다. 물동량이 늘면 중국·러시아·북한 접경지역이 새로운 산업·물류 센터로 등장할 것이다. 한국의 속초, 일본 서해안 항구도시와의 연계성도 높아진다.”(장위산(張玉山) 지린성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소 소장)

-지역 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나.

“한국의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 중국의 동북지역은 개발이 덜 돼 발전 잠재력이 크다. 두만강 지역은 한국과 북한·중국·일본·러시아·몽골 등 관련국들의 경제적 이점이 만나는 곳이다. 이곳을 동북아 경제협력의 플랫폼으로 만들어야 한다.”(다가 히데토시 와세다대 교수)

- 북한이 변수가 아닌가.

“북한 핵실험, 천안함 사태 등으로 한국과 일본의 대(對)북한 교류는 줄어들고 있다. 반면 북·중 협력은 늘어나는 추세다. 이런 상황에서 동북아 협력의 진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북한에 대한 주변국 간의 공조가 필요하다.”(고정식 배재대 교수)

-중국의 입장은 어떤가.

“북한을 배제한 상태에서 협력을 논의할 수는 없다. 자원·인력 등 북한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요소를 협력의 틀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그게 동북아 안정에 기여하는 길이다.”(사오한밍(邵漢明) 중국 지린성사회과학원 부원장)

-한국 정부는 어느 정도 참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지역 개발은 주로 민간 차원에서 이뤄져 왔다. 그러나 환경·금융·물류망 연계 등 정부가 나서야 할 사안이 많아지고 있다. 정부가 나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 됐다. 결국 정부의 정책 의지가 핵심이다.”(임천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회장·건국대 교수)

한우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