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위기의 한의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의관이 환자의 경혈(經穴)을 잡고 침을 놓는다. 그 순간 시침한 부위들이 피라미드나 삼각기둥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강력한 기(氣) 덩어리 같은 게 창출된다. 기 덩어리는 레이저빔처럼 아주 빠른 속도로 몸 여기저기에 부딪치며 질환 부위를 향해 내닫는다. 목표에 닿는 순간 기 덩어리는 불꽃처럼 산산이 터져버린다’. 고려시대의 의관 얘기를 그릴 지상파 드라마 ‘신의(神醫)’에 나올 한 장면이다. 대본 작업에 참여한 한의사의 뜻이 반영된 구상이란다. 침 맞은 환자의 경락(經絡)이 활성화되고 병이 낫는 원리를 컴퓨터그래픽(CG)을 이용해 사실적으로 보여주겠다는 의도인지 싶다.

동양에선 경락과 경혈이 오랜 세월 의학과 양생(養生)의 토대였다. 2000년 전 중국 최고 의학서 『황제내경(黃帝內經)』도 경락의 전모를 소상히 담고 있다. 경락은 온몸의 기혈(氣血)을 운행하는 통로요, 경혈은 경락상의 주요 지점으로 침구(鍼灸)를 시술하는 자리다. 문제는 이 경락이 드라마 ‘신의’에서처럼 눈으로 볼 수 있는 게 아니란 점이다. 해부학에 바탕한 서양의학이 경락·경혈의 존재와 침구의 효과에 대해 고개를 갸웃하는 것도 그래서다.

경락 이론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려는 연구가 없는 건 아니다. 1960년대 북한 의학자 김봉한이 선두 연구자로 꼽힌다. 그는 토끼의 경혈에 방사성 동위원소 P32를 주입해 움직임을 추적한 결과 이동 통로가 경락과 일치한다는 걸 발견했다. 그 후 의미 있는 진전이 뒤따랐다. 서울대 소광섭 교수의 97년 쥐 실험이 대표적이다. 위와 췌장을 관장하는 경혈로 알려진 ‘중완혈(배꼽과 명치 가운데)’ 자리에 염료를 주입했더니 췌장 쪽으로 집중적으로 흘러갔다. 경락의 존재를 의미하는 결과라는 거다.

요즘 한의사들의 한숨이 깊다고 한다. 보약은 안 팔리고 한의사 수는 지난 10년 새 81%나 급증해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다. 그렇다고 수천 년 계승돼 온 전통의학이 명맥을 잇지 못할 이유는 없다. 한의학이 살려면 한의사 수급 조절이나 정부 지원도 긴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의학의 이론적 토대를 강화해 신뢰를 회복하는 게 급선무다. 한방 치료의 기본이 되는 경락의 존재와 효과를 입증해 온 것처럼 말이다. 예방·웰빙의학으로서의 기능을 살려 다이어트·피부·한방성형 같은 특화 분야를 개척하는 것도 방법일 터다. 편작이나 화타 같은 신의(神醫)가 지금이라고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

김남중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