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생산·출하 급증 설비 투자는 둔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소비자와 기업의 경기 전망은 어두워지고 있는데, 지난달 실물 경기지표는 좋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출하 증가율이 2년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출하량에 대한 재고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고율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0월 중 소비자기대지수는 97.1로 11개월 만에 1백 이하로 떨어졌고 이달 초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한 기업실사지수도 98.6으로 1년 만에 1백 이하로 낮아지는 등 경제심리는 가라앉았지만 막상 실물지표는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자동차 등의 선전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7% 늘어났다. 추석연휴가 10월에 끼여 있던 지난해보다 조업일수가 이틀 정도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9, 10월을 평균하더라도 8%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수출출하(17.6%)가 내수출하(9.1%)보다 크게 늘어나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출하 증가율은 2000년 9월 각각 15.2%와 15.3%를 기록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도소매판매가 7%, 내수용소비재출하가 10.6% 증가하는 등 소비지표도 전달의 부진에서 회복됐다. 출하가 늘면서 재고율은 전달보다 2.8%포인트 줄어든 66.8%로 1980년 1월 재고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 김민경 경제통계국장은 "재고율은 경기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어 재고율이 낮다는 것은 경기가 상승국면에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1.4% 늘어 전달(2.5%)보다 증가세가 둔화됐다. 하지만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기계류수입액(24.9%)과 국내기계수주(31.1%)가 급증하고 있어 대통령 선거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그동안 투자를 꺼렸던 기업들이 서서히 투자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값 억제정책으로 전달 17.9%나 감소했던 건설수주도 19.8% 증가로 돌아섰다.

현재의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2로 전달보다 0.3포인트 높아졌고 6개월 이후의 경기를 보여주는 선행지수도 0.7%포인트 증가했다.

정철근 기자

jcom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