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업씨 계좌서 뭉칫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의 장남 이정연씨 병역면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朴榮琯)는 4일 전 의무부사관 김대업(金大業·41)씨 관련 계좌를 추적한 결과 金씨의 계좌에서 거액의 수표가 수차례 입금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이 돈의 출처와 성격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출처가 의심되는 뭉칫돈이 金씨 계좌로 흘러든 사실이 일부 드러나고 있다"면서 "金씨가 받은 수표 중에는 최근에 발행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金씨가 입금받은 정확한 돈의 규모는 아직 밝힐 단계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金씨가 정연씨 병역비리의 물증으로 녹취 테이프를 제시하고 은폐대책회의 의혹을 제기하는 등 정연씨 병역문제를 공론화하는 대가로 돈을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金씨는 본사 취재진과의 전화 통화를 거부했다.

검찰은 이에 앞서 지난 2일 밤 金씨의 대구 자택과 처갓집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또 1999년 당시 군·검 병역비리합동수사 당시 군 검찰부장이던 고석(高奭)대령의 자택과 차량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金씨와 高대령이 보관해온 병역수사 관련 서류와 물품 등을 확보하고 정밀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金씨 집에서 압수한 물품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수사팀은 이번 압수수색에 상당한 의미를 두고 있다"고 말해 金씨에 대한 수사가 본격 궤도에 올랐음을 내비쳤다.

검찰은 金씨의 진술을 정리해 차이점을 집중 분석하고 있으며, 이번 주말이나 다음주 초 테이프에 대한 최종 감정 결과가 나오면 그동안의 수사 결과를 토대로 테이프의 위·변조 여부 등을 최종 판단할 예정이다.

검찰은 高대령에 대해서는 99년 군 검찰이 정연씨를 내사했는지와 정연씨의 병역면제 과정을 진술했다는 전 국군수도병원 부사관 김도술(55)씨의 자술서가 존재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 관계자는 그러나 "국방부측이 '高대령의 사무실을 자체 조사한 결과 병역수사와 관련된 문서는 나오지 않았다'는 통보를 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전 종로구청 직원 朴모씨 등 관련자 4명을 다시 불러 이들 금융계좌의 입출금 내역을 추궁했다.

김원배·김승현 기자

oneb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