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취재일기

해외원조는 후진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2002년 12월 스커드 미사일을 실은 북한 화물선이 예멘으로 향하다 미군에 나포됐다. 예멘이 북한산 미사일 수입 사실을 인정하자 일본이 예멘에 정부개발원조(ODA.유상 및 무상 원조) 동결 방침을 통보했다. 놀란 예멘 대통령은 미사일을 다시는 구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일본이 ODA를 대외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사례다. 일본은 세계 2위의 원조 대국다운 조직과 체계.노하우를 자랑한다. 1978년부터 3~4년마다 ODA 중기계획을 세우고 있고, 외무성 경제협력국의 7개 과(課)와 2개 실(室)이 ODA 업무에 매달리고 있다.

한국은 어떤가. ODA 규모는 일본의 4.3%(2003년 기준)에 불과하다. 유.무상 원조 등 전체 ODA의 철학.방향을 제시하는 지휘탑이나 청사진이 없다. 그러다 보니 ODA 예산은 뒷순위로 쉽게 밀린다. 최근 지진해일(쓰나미)이 강타한 남아시아 국가에 대한 지원에서 보았듯 다른 나라 눈치를 보며 체면을 안 구기려 노력하는 정도다. 지난해 한국의 ODA 규모는 4억달러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총소득(GNI)의 0.06%에 불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원조국 모임인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의 평균치(GNI의 0.25%)와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한국은 세계 12위의 무역 규모를 자랑한다. 수출입의 절반은 원조를 받는 개발도상국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돈벌이에만 급급해 한다는 비난을 살 수도 있다. 이번 쓰나미를 계기로 정부의 해외 원조 철학과 원칙을 담은 '해외원조기본법(가칭)'을 만들면 어떨까.

허귀식 경제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