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선 국가도 개인도 믿음이 생명 내 신용은 몇 점일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무디스와 피치에 이어 지난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A-로 한단계 올렸다.

이에 따라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의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모두 A를 회복했다. 이를 계기로 국가와 개인 신용의 중요성 등을 알아본다.

◇국가 신용등급 어떻게 매기나

허생(許生)은 가난 때문에 아내에게 등을 떼밀려 갑자기 공부를 그만두고 돈벌이에 나선다.

그는 장안의 갑부인 변(卞)씨를 찾아가 담보도 없이 1만냥을 꿔달라고 한다. 변갑부는 두말없이 거금을 내놓는다. 허생은 그 돈을 밑천 삼아 많은 돈을 번 뒤 변갑부에게 원금의 열배인 10만냥을 변제한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소설가인 연암(燕巖) 박지원의 한문소설인 허생전의 줄거리다.

변갑부가 허생에게 큰돈을 빌려준 이유는 소설에서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신용의 무게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신용이란 일반적으로는 타인을 믿는 일이다.

경제적으론 '상대방이 일정 기간 뒤 상환 또는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고 인정함으로써 물건·돈을 빌려 주거나 지불을 연기해 주는 것'이다.

현대는 신용사회다. 특히 지구촌시대에 국가 신용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국가 신용등급은 한 나라의 정치·경제·사회 등 총체적 신용이 국제사회에서 어떤 평가를 받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이는 다른 나라에서 투자 판단의 지표가 된다.

평가 기준은 환율 등 거시경제정책, 성장 전망, 대외부채, 부채 상환 능력 등이다. 외환 보유액은 주요 평가 항목이다.

S&P의 경우 AAA~BBB까지가 투자 적격, BB 이하는 부적격 등급이다. 동일 동급 내의 우열은(+)·(-)로 표시한다.

<표 참조>

투자 부적격 판정을 받으면 국제금융시장에서 채권 발행이 어렵고, 외채 이자율도 높아진다.

기업체와 금융기관들은 신용이 아무리 좋아도 국가의 신용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므로 덩달아 피해를 본다.

우리나라는 외환 위기 직후인 1997년 말 S&P 평가 기준으로 A-보다 세단계 위인 AA-에서 98년 초 그 10단계 밑의 투기등급인 B+로 추락했다. 그리고 4년7개월의 고생 끝에 우량 등급인 A를 되찾은 것이다.

개인이나 국가 모두 한번 신용을 잃으면 회복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우리는 외환 위기를 통해 뼈저리게 느꼈다.

◇생각 키우기

①성숙한 인격체로서 갖춰야 할 나의 덕목을 다섯 가지만 들어본다. 그 가운데 신용은 몇 번째인가?

②평소 나에 대한 신뢰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5~7명씩 모둠을 지은 뒤 급우들에게 자신의 신용을 평가받는다. 다음으로 신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실천한다.

☞신용 점검표는 '약속을 잘 지킨다/필요 이상 비싸거나 불필요한 제품을 사지 않는다' 등 10개항으로 한다.

점수는 항목마다 1~5점을 매기고, 나머지 모둠원들의 평가를 합산하면 자신의 평점이 나온다.

③(중등 고학년)외환 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상승 과정을 일지로 작성하고, 단계마다 상향 조정된 주요인을 서너 가지로 요약·정리한다.

④(고등)정주영 현대그룹 전 명예회장은 생전에 기업의 공신력을 생명처럼 여겨 기업의 성장은 곧 신용의 축적과정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신용을 바탕으로 성공한 기업가 한 명을 골라 그의 신용 지키기 노력의 단면을 1천2백자 안팎으로 정리한다.

⑤(고등 고학년)지속적인 국가신용등급 회복의 전제 조건을 들고, 월드컵 때 세계적으로 쌓은 우리나라의 이미지를 활용해 신용등급을 높이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술한다(1천2백~1천4백자).

이태종 기자

①S&P 기준(최하 D부터 최고 AAA까지 총 22개 등급)

<투자 적격>AAA:채무 이행능력 최우수,AA:채무이행능력 우수,A:경제여건에 따라 채무 이행 능력 영향받음,BBB:경제여건 변화에 취약

<투자 부적격>BB·B·CCC·CC:경제여건에 따라 채무 불이행 가능성,C:파산 절차 돌입,D:채무 불이행

②자료:국제금융센터(신용등급 8월 20일 기준)·통계청(1인당 GDP 2000년 기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