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 정부와 견해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장상 총리서리는 통일·안보·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의원들의 질문에 비교적 명확하게 답변했다.

주민등록 이전과 투기 의혹을 해명할 때와는 대조적이었다. "잘 모르겠다"거나 "설명할 수 없다"는 표현을 한번도 쓰지 않았다. 총리에 지명된 뒤 보름여 동안 국정수행 능력 검증을 예상하고 정책 이해도를 높여온 흔적이 엿보였다. 답변은 대부분 정부의 공식 입장과 일치했으나 주5일 근무제 등 일부 쟁점에서는 미묘한 견해차가 느껴졌다.

총리 자격에 대해 張서리는 "총리를 미리 연습한 사람은 없다. 국가관과 행정능력·조직 장악력이 있다면 가능하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주5일 근무제에 대해 그는 "노사 합의가 이뤄져야 하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일률적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통령의 사면권에 대해 "도덕적 해이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언급, 남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張서리는 또 "서해교전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고 북한의 책임"이라며 "대북 화해정책 외에는 대안이 없지만 같은 사건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보를 확고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방한계선(NLL)은 협상 대상이 안된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현재의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거시지표는 좋은데 소득 격차와 도시 집중 등의 문제가 있어 체감 경기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집값 상승에 대해서는 "주택 보급률이 1백15%는 돼야 수요가 충족되므로 임대주택을 늘려 서민들이 주택(마련)의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한편 張서리는 "마늘 협상에서 드러난 정부 행정의 난맥상이 반복되면 대통령에게 관계장관의 해임을 건의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상황이 그 정도면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