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4곳 중 1곳 없어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 방침에 따라 2009년까지 국내 대학(산업대.전문대.교대 포함) 358곳 가운데 87곳이 감축될 전망이다. 대학 네곳 가운데 한곳이 없어지는 셈이다.

국립대는 2007년까지 의무적으로 입학정원의 10% 이상을 감축해야 하며 대학 간 통폐합이 유도된다. 사립대는 연차별 전임교원 확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정부의 재정 지원이 끊기며 2006학년도 입학정원을 10% 감축하는 대학만 구조개혁 재정 지원을 받게 된다.

이와 함께 교육인적자원부가 맡아온 온 대입 관련 집행.관리 업무가 대학총장들의 모임인 대학교육협의회 등에 위탁돼 2007학년도 입시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날짜나 전형 일정을 대학이 협의해 정하는 등 운영의 자율성이 확대된다.

교육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대학 자율화 추진 계획 및 구조개혁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이는 양 위주의 국내 대학교육의 고질적인 병폐를 근본적으로 수술해 질 위주로 체질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앞으로 짝짓기나 군살 빼기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교육부는 국립대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2009년까지 입학정원을 15% 감축해 8만3000명에서 7만1000명으로 줄이되 각 대학에 2007년까지 10% 이상 감축하는 계획을 의무적으로 수립하도록 했다.

또 국립대 특성화를 위해 대학 간 통폐합이나 연합을 시도하는 대학에 교수 정원 배정이나 교육시설 개선 예산을 집중 지원키로 했다. 장기적으로 교육대와 사범대 간 통합도 적극 유도된다.

사립대에 대해서는 2009년까지 매년 달성해야 할 전임교원 확보 기준을 제시하고 정부 재정 지원과 연계할 방침이다. 특히 2006년부터는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40명을 넘는 대학은 재정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학생 수 격감 등의 이유로 해산.합병하는 사립대의 설립자에게 출연 재산의 일부를 돌려주는 등 퇴출 경로가 마련된다.

교육부는 내년에 1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통합을 추진하는 2~3개 국립대에 200억원씩 600억원을 2~4년간 계속 지원하고, 구조개혁을 선도하는 국.사립대 또는 전문대 10~15곳을 선정해 20억~80억원씩 모두 4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김영식 교육부 차관은 "대학 구조개혁 방안이 마무리되는 2009년에는 전체 대학 중 국립대 8곳, 사립대 79곳 등 87곳(24.3%, 전문대 49곳 포함)이 통폐합 등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학교법인의 기본재산 처분 허가 요건을 완화하고 정부의 간섭이 심한 사립대 예산 편성권을 대학에 돌려주는 등 자율성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남중.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