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T] 디지털 시대의 ‘마당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5면

SNS는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본능을 충족시켜 주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과거 일대일로만 가능하던 소통을 혁명적으로 확장해 한 번에 여러 사람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인간 관계가 폭넓은 사람’이란 의미도 다시 정의되고 있다. 10년 전에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전화번호를 많이 가진 사람에게 ‘인맥이 두텁다’고 했다. 지금은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 즉 웹상에서 소통하는 인맥이 어느 정도 넓은지, 웹상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가 중요하다. 트위터의 팔로어나 블로그 방문자가 많은 사람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마당발’과 ‘정보통’이다.

SNS는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 어떤 온라인 서비스보다 충성도·관여도가 높은 ‘끈끈한’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소비자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좋은 소통 매체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대기업의 CEO가 트위터 경영을 펼치는 것도 그런 이유다. 광고 시장에서도 SNS는 새로운 기회를 준다. 모르는 사람이 추천하는 물건보다 내가 아는 사람의 한마디가 신뢰가 가고 설득력이 높아서다. 특히 마케팅 매니저 등 전문가보다 팔로어 등 온라인 일촌의 평가가 중요한 시대다. 마케팅 비용도 덜 든다. 메시지를 한 명에게 보내도 그의 소통 인맥을 통해 영향력은 1000명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인터넷의 기본 속성은 개방과 소통이다. 웹은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초국가적 우체국 역할을 한다. 이런 기준에선 SNS도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웹 본연의 속성을 보다 체계화하고 발전시킨 서비스다. 이제 디지털은 ‘소셜’을 의미하는 시대가 됐다. 스마트폰 등 다양한 의사소통 단말기들이 늘어나면서 앞으로 인간 관계는 웹에 점점 더 의존할 것이다. 개인이나 기업 모두 디지털 마당발 시대에 SNS 계정 하나는 갖고 있어야 시대에 뒤처지지 않는 시대가 됐다.

이원진 구글코리아 대표 wlee@google.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