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치료법 없는 폐질환

중앙일보

입력


원인 모를 기침과 가래가 계속된다. 계단을 오르내릴 땐 남들보다 쉽게 숨이 차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폐에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 흡연까지 한다면 그 가능성은 더욱 크다. 생명을 위협하는 폐질환의 증상과 원인, 치료법을 알아봤다.

폐 조직 파괴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과 기관지 확장증, 폐섬유화증은 대표적인 폐질환이다. 폐에 구멍이 생기는 폐기종과 탄력층이 망가져 기관지가 영구적으로 늘어난 기관지 확장증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속한다. 기관지 확장증의 경우 기관지 내의 탄력층이 망가져 가래(객담)의 배출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아 기관지 속에 고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배출되지 못한 가래는 2차성 세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

이들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랜 시간 흡연을 했거나 결핵을 앓았던 경우, 기침을 동반한 홍역이나 폐렴을 앓았던 40대 이상의 성인에게서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을 진맥해 보면 맥이 빠르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정확한 진단은 폐CT촬영을 통해 할 수 있다. 편강한의원 서효석 대표원장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주된 증상은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라고 설명했다. 기관지 확장증은 점액성 가래가 많은 게 특징이다. 더 진행되면 걷거나 운동을 할 때 호흡 곤란이 오게 된다.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동반되기도 한다.

조직이 딱딱하게 변하는 폐섬유화증

폐조직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염증이 생겨 딱딱한 조직으로 변하는 폐섬유화증도 대표적인 폐질환이다.

섬유화(정상적인 조직이 딱딱하게 변함)가 심해지면 폐가 산소 교환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폐질환처럼 마른 기침과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됨에 따라 호흡곤란이 점점 더 심해진다. 일단 섬유화가 되면 완치가 어렵고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는 폐포 염증을 억제시켜 더 이상의 섬유화 진행을 막는 것이다. 병의 진행은 개인차가 심한 편이다. 빠르게 악화되는 사람도 있고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사람도 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마찬가지로 아직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폐의 적열 씻어내고 청소해야

폐질환이 무서운 것은 아직까지 특별한 치료법이 나오지 않아서다. 한의학에서는 폐 기능을 강화하고 몸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치료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폐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다. 서 원장은 “폐기종과 기관지 확장증 등의 폐질환은 일반적인 폐암보다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적열(폐에 쌓인 열)을 씻어내 주면 망가졌던 조직들이 재생된다”고 설명했다.

폐를 청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폐에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흡연과 스트레스는 노폐물의 원인이다. 따라서 금연은 필수다. 폐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그 기능이 감소하므로 금연은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스트레스도 피해야 한다. 조깅과 수영·등산 등은 폐를 청소하고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서 원장은 “산에 오를 때는 빠른 속도로 걸어 숨을 자주 헐떡여야 폐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폐의 청폐 작용을 돕는 처방도 있다. 편강탕은 폐의 건강을 보하고 깨끗하게 만들어 주는 청폐 작용을 통해 폐의 적열을 씻어내고 폐 스스로의 자정능력을 키워주는 처방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1년에서 1년 6개월, 폐섬유화증은 1년 정도 복용한다. 서 원장은 “폐의 적열을 씻어 폐 기능을 활성화하면 곧바로 편도선의 강화로 이어지고, 건강해진 편도선에서 분출되는 활발한 임파구들이 망가진 근육층과 탄력층의 조직을 재생시킨다”고 설명했다.

[사진설명]폐기종·기관지 확장증·폐섬유화증 같은 폐질환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생한다. 서효석 원장은 “흡연과 스트레스는 으뜸 장부인 폐의 건강을 해치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도움말=편강한의원 서효석 대표원장

< 송정 기자 asitwere@joongang.co.kr / 사진= 김경록 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