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조사 왜 법정 계량단위 안 쓰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얼마전 통계청이 주관하는 '2001년도 기준 사업체 기초 통계조사 및 도소매업·서비스업 총 조사'를 위한 오리엔테이션에 참가했다.이번 오리엔테이션은 통계청이 조사원들에게 실시하는 교육으로 현장에 나가 조사하는 데 필요한 여러가지 내용을 배울 수 있어 참 유익했다. 급변하는 경제환경에서 통계가 경제지표를 설정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 특히 정확한 통계를 위해서는 기초조사를 제대로 해야 한다고 느꼈다.

하지만 조사표 작성과 관련된 통계청의 지침 중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있어 지적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사업장의 면적 단위를 '제곱미터(㎡)'가 아닌 '평'으로 환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겨우 정착돼 가고 있는 법정 계량단위의 사용에 역행하는 처사다.

건물·토지 등의 등기부등본상 면적을 법정 계량단위인 '㎡'로 측정해 표기한다는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법정 계량단위를 사용함은 물론 이를 적극 권장해야 할 통계청에서 이를 쓰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국가적인 사업의 일환인 통계조사에서조차 '평'과 같은 비(非)법정 단위를 고집하는 통계청을 이해하기 힘들다.

정부는 2년 전 법률을 고쳐 법정 계량단위의 사용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정부기관이 솔선수범하기는커녕 이를 지키지 않는다면 어느 누가 따르겠는가. 현재 법정 계량단위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통계청의 비법정 계량단위 사용은 재고돼야 한다.

박경숙·인터넷 독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