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공원 대립 끝내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 원지동 추모공원이 오는 30일 진입로 공사 착공에 이어 다음달 10일께엔 승화원(화장장)과 추모의 집(납골당)·장례식장 터고르기로 본격 공사에 들어간다. 지난해 7월 부지 결정 이후 서초구와 주민들의 반대에 부닥쳐 서울시가 그린벨트 해제 방식으로 바꾸며 진통을 거듭한 지 9개월 만이다.

그러나 서초구와 주민들은 7일 청계산 현장에서 대규모 항의집회를 계획하는 등 반대 입장을 고수, 저지와 강행 대립으로 사업시행에 차질이 우려된다. 서울시는 추모공원 부지 토지 소유자의 절반 이상이 수용을 허락해 공사 강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 반면 서초구와 주민들은 그린벨트 해제 무효소송 등을 제기하고 공사를 막겠다는 태세다.

서초구와 주민들도 추모공원 건립의 필요성엔 동의한다. 다만 교통과 환경문제를 고려해 부지를 재선정하고 규모도 대폭 축소할 것 등을 요구해 서울시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가 그린벨트 해제 결정을 내리며 제시한 '사업시행 과정에서 규모와 교통·토지보상·환경문제에 서울시와 주민들이 충분히 협의하라'는 권고에 양측 모두 성의를 보여주길 바란다.

서울시는 위치 문제에 관해선 이미 결정된 사항이어서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당초 계획한 시설규모(화장로 20기·납골당 5만위·장례식장 12실)는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일부 탄력적으로 조정할 뜻을 내비치고 있는 만큼 서초구와 주민들도 대폭적인 규모 축소 등을 고집하기보다 합리적인 절충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울시민의 화장률이 50%를 넘어선 현재 벽제승화원은 처리능력을 초과한 상태고 6곳의 납골당도 곧 빈 자리가 없게 되는 등 서울의 장묘시설은 이미 포화상태다. 그런데도 추모공원 건설 대립이 해결되지 않은 채 지방선거에서 다시 논란이 된다면 장묘시설은 더 이상 갈 곳이 없다는 점을 모두 인식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