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발전 파업> 철도·발전노조 위원장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사상 초유의 공공노조 연대파업 사태 배경에는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방침에 대한 반발과 근로조건 개선 요구가 맞물려 있다. 이들 문제를 둘러싼 정부와 해당 노조의 입장은 무엇인지, 노동부 장관과 철도·발전 노조 위원장을 인터뷰했다.

편집자

철도노조 김재길(金在吉·37)·발전노조 이호동(李虎東·38)위원장은 25일 농성 중인 명동성당에서 "총파업 사태는 공론화 없이 민영화를 추진한 정부측의 책임"이라며 정부가 성실히 교섭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핵심 쟁점이 뭔가.

"민영화 저지·근로조건 개선 등이다. 근로조건 개선 문제 중 3조2교대 근무체제 도입은 1996년 노정간 합의사항이었다. 지난해만 34명의 철도 근로자가 근무 중 숨졌다. 한달에 3백50시간을 근무한 근로자도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추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민영화 저지 부분은 노정간 협의기구를 만들어 추후 논의할 것을 제의했다."(金위원장)

"근로자 신분 보장 문제가 관건이다. 노조 전임자 31명 확보, 노조 간부 인사시 노조와 사전협의 등 신분 보장 요구를 사측이 일방적으로 거부했다."(李위원장)

-가스노조가 파업을 철회했다. 연대투쟁 방침이 깨진 것 아닌가.

"노조의 실익과 공동투쟁본부의 연대투쟁 원칙을 모두 살리도록 노력 중이다. 연대투쟁은 파업 돌입 시기를 함께 하는 데 의의가 있었다. 철도노조는 현재 교섭권을 상급단체인 한국노총에 위임했으며 파업 철회는 한국노총의 교섭 결과에 달려 있다."(金)

"가스노조의 파업 철회가 우리에게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다. 노조 집행부에 대한 체포가 시작돼 교섭권을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에 위임했다."(李)

-현재 협상은 진행 중인가.파업은 언제까지 계속되나.

"사용자측의 교섭 제안이 오면 언제든지 응할 것이다. 공권력에 의한 강제진압으로 파업을 끝내지는 않을 것이다. 전체 노조원이 납득할 타협안이 나오지 않는 한 파업은 계속된다."(金·李)

-정부는 이번 파업의 참가율이 26%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전국적으로 파업 참가율이 70%를 넘어섰다. 기관사의 경우 90% 이상이 파업에 참가했다."(金)

"조합원 5천6백여명 중 서울대에 5천명이 모여 있다."(李)

손민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