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수집한 개인정보 유럽 당국에 넘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구글이 그동안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수집해 온 개인 정보를 유럽 규제 당국에 넘기기로 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FT)가 4일 보도했다. 최근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다.

FT에 따르면 구글의 최고경영자 에릭 슈미트는 최근 “독일ㆍ일본ㆍ스페인의 정보 보호 당국에 정보를 건네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4일 구글은 차량으로 거리 사진을 찍는 ‘구글 스트릿뷰’ 서비스가 보안 안 된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개인 정보를 수집해 왔다고 인정했다. 이에 대해 외부 감사에 착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겠다는 것이다. 슈미트 대표는 본의 아니게 수집된 정보 중에 은행 계좌 정보 같은 개인 정보가 포함돼 있었다고 인정했다.

“우리는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이 사태를 냉정히 봅시다.” 슈미트 회장은 “자신의 실수를 솔직히 인정하는 것이 재발을 막는 가장 좋은 방어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회사의 개인 정보 실무에 대해 내부 조사를 벌이고, 수집된 정보 코드를 모두 검사하겠다고 말했다. 그 결과는 다음달 중에 발표하기로 했다.

슈미트 회장은 “투명성으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술자들이 자유롭게 새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하는 사풍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예를 들어 직원들이 근무 시간의 20%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20% 타임’ 제도는 그대로 남는다는 것이다. 슈미트 회장은 “회사의 창의성에 물을 끼얹는다는 건 끔찍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올해 ‘버즈’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출시하면서도 개인 정보 유출 논란에 휩싸였었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이 해킹 공격을 당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슈미트 회장은 “구글에서 보관하고 있는 정보가 개인이나 개별 회사가 보관하는 것보다는 훨씬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독일은 이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면서 무선 인터넷으로 수집한 정보가 담긴 하드 드라이브를 제출하라고 구글에 요구했다.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법적인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해 왔다.

한국에서 구글은 지난해 말부터 거리 촬영을 해 왔으며, 사생활 침해 논란이 제기된 이후 촬영 차량 운행을 전면 중지했다.

임미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