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여성단체 내년 지방선거 대거 출마 선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내년 봄 치러지는 4대 지방선거에서는 지역 시민단체들의 활동가 또는 여성 후보들이 대거 진출할 전망이다.

시민 ·여성단체들마다 자체적으로 후보를 내기 위해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있거나 새로운 후보의 발굴,또는 지지후보를 물색중이다.과거 총선연대활동 같은 낙선운동도 검토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내부논의를 거쳐 내년 기초의원 선거에 소속 활동가 및 친환경적 인사들을 중심으로 ‘녹색후보’들을 대거 출마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내년 1월 후보 검증기준 마련을 위한 별도기구를 구성하고 본격 후보발굴에 나선다.또 후보가 선정되면 가칭 ‘녹색후보 아카데미’를 개설,친환경적 선거운동과 정책개발에 들어 가기로 했다.

문창식(38)사무처장은 “지역 특성상 후보발굴이 쉽진 않겠지만 기초단체마다 최소 1명씩의 후보는 낼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참여연대는 과거의 총선연대활동처럼 후보 정보공개 ·낙선운동 등을 논의중이며,대구KYC(한국청년연합회)는 검증을 거쳐 출마회원을 적극 밀어 줄 방침이다.

환경운동연합 ·청년연합회 ·민주노총 ·여성회 등 포항지역 단체들은 내년 지방선거에 공동대응을 모색하고 있다.이들 단체는 이미 여러차례 회의를 갖고 내년 지방선거에 10여명의 시의원 후보를 내기로 의견을 모아놓고 있다.

포항환경련 이재형(31)사무처장은 “각 단체별로 ‘시민후보’로서 결격사유가 없는 사람을 후보로 내세우면 공동 정책개발과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중 포항여성회와 여성단체협의회 등은 한발 더 나아가 이미 지난 19 ∼ 21일 ‘여성정치학교’를 열었다.이 학교는 첫날의 유권자교육에 3백여명,둘째 ·셋째날의 자원봉사자 ·출마자 교육에 각각 40여명의 여성들이 참여하는 열기를 보였다.

포항여성회 송애경(39)회장은 “포항에는 지난 10여년 동안 여성후보나 의원이 배출되지 못했다”며 “내년에는 최대 6명을 당선목표로 본격활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동의 경우 안동사회문제연구소(소장 김성현)가 회원 가운데 후보를 내거나 뜻을 같이 하는 사람을 밀기로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민단체에 이름만 걸어 놓은 사람이 아니라 의정활동을 하면서 단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사람을 미는 대신 연구소도 이들의 활동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김소장은 “기초의회는 환경운동·주민자치 등 '생활정치' 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장(場)이므로 내년 선거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권삼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