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시장지배적 사업자 판단 11개 종합일간지 유료부수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열린우리당은 30일 신문법안 내용 중 대형 신문사를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추정하는 근거가 되는 시장점유율 기준을 종합일간지(현재 11개)의 유료 부수 비율로 삼기로 했다.

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열린우리당 간사인 우상호 의원은 "지난달 29일 당 회의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발행부수.매출액 등 여러 기준을 검토했으나 결국 시장에서 팔린 부수가 점유율 기준이 돼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경제지.스포츠.지방지 부수는 점유율 기준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열린우리당의 신문법안은 1개 신문사의 시장점유율이 30%, 3개 신문사의 점유율 합계가 60% 이상일 경우 해당 신문사들을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추정, 공정거래위가 규제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여당은 지금까지 종합일간지를 대상으로 시장점유율을 산정한다고 밝혔을 뿐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는 않았었다. 문화관광부는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 답변자료를 통해 "현행법상 일간지는 종합지.스포츠지.경제지.지방지 모두를 가리킨다"고 유권해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은 "문화부에서 일간지에 대한 유권해석이 나오자 뒤늦게 3대 신문을 죽이기 위해 자의적으로 법을 만들고 있다"며 "이는 열린우리당의 신문법안이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