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천안함 담화 … 김정일 거명 여부 관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통일부가 남북관계 상황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구성한 종합상황대책반의 첫 회의가 22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4층 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은 천안함 침몰 이후 ‘선(先) 원인 규명, 후(後) 단호한 대응’ 원칙을 강조해 왔다. 그런 만큼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발표 나흘 만인 24일의 대통령 담화엔 ‘단호한 대응’ 의지와 관련 조치가 포함된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대북 대응 기조를 ▶우리 정부가 독자적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 ▶국제공조를 통한 조치로 나눠 설명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은 밝혔다. 독자적 조치엔 특히 북한의 추가도발 땐 군사적 대응을 할 수도 있다는 취지의 강력한 경고도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다만 남북 경제협력과 관련해 개성공단 폐쇄 등과 같은 전면적인 중단 선언이 이번 담화를 통해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한다.

국제공조를 통한 대응 방안으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천안함 문제를 회부하는 것 등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안보리에 회부해 추가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을 시도할지, 1874호 등 기존 결의안을 강화할 것인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중국을 거쳐 26일 방한하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과 이 문제를 조율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이 담화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거명할지도 관심사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담화 결론에 남북관계에 대한 미래지향적 메시지도 포함될 것”이라며 “이 대목에서 김 위원장 이름을 거론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또 다른 참모는 “천안함 사태의 책임자로 김 위원장을 지목하고 사과와 함께 관련자 처벌을 요구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며 “대통령이 어떤 결심을 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담화문 말미에 “국가 안보 앞엔 모두 하나가 돼야 한다”는 취지로 국민적 단합을 호소할 방침”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