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촉각 이제 '개각'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기국회가 끝나고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귀국(12일)이 다가오면서 정치권의 관심이 개각으로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개각은 DJP 공조가 깨지고 金대통령이 민주당 총재직을 사퇴한 뒤 처음 단행되는 것이다.

또 내년 월드컵 축구대회와 아시안게임은 물론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까지 치르는 내각인데다 金대통령의 1년2개월 잔여임기를 마무리하는 역할까지 해야 한다. 이미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유능하고 전문성있는 인사들로 중립내각을 구성하라"고 요구한 바 있어 내각의 성격이 어떨지도 주목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9일 "金대통령이 귀국한 뒤 언제라도 개각을 단행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金대통령이 지난 2일 유럽 순방길에 나서면서 인사자료를 챙겨 떠났다"고 전했다.

이번 개각에서는 특히 각료 개개인에 대한 여론과 평가를 중시할 것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청와대 민정.정무수석실 등에선 정치권과 공무원.교수.시민단체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입각할 인사에 대한 추천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잘 알거나 써봤던 인물을 중용하는 인사 스타일도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金대통령이 국정개혁 마무리를 위해 '탈(脫)정치 내각'원칙 아래 참신한 인사들로 새 진용을 짜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심을 잡기 위해 다른 어느 개각 때보다 여론을 중시할 것이란 얘기다.

개각 폭도 관심사다. 여권 내부에선 "이한동(李漢東)총리를 포함해 조각(組閣)수준의 전면 개각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지만 최근 신승남(愼承男)검찰총장과 신건(辛建)국정원장의 거취문제가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고 한다. 진념(陳稔)경제부총리 겸 재경부장관 등 경제팀의 진용은 어떤 형태로든 바뀔 것이라고 한다.

한 고위 당직자는 "愼총장의 경우 한나라당이 제출한 탄핵안이 무산됐으나 검찰조직을 일신하는 차원에서 거취문제가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辛원장은 국정원 간부들의 잇따른 비리연루 의혹 등으로 조직 내부가 흐트러져 지난 3월 취임 후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개각 시기에 대해서는 '귀국 직후'가 유력했다. 그러나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늦춰지면서 이달 말께 단행될 것으로 여권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