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특대위 "상향식으로 공천하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당의 '당 발전과 쇄신을 위한 특별대책위'(당 발전특위)가 굵직한 정치개혁안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최근 미국식 예비경선제(Primary)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엔 국회의원을 비롯한 각종 선거에서 상향식 공천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꺼냈다.

지역구 후보의 공천을 현행처럼 중앙당에 일임하는 게 아니라 지구당원들이 직접 결정하는 방식으로 바꾼다는 것이다.

특위가 이처럼 발빠르게 당 개혁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특위가 특정주자(李仁濟고문)를 밀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는 한화갑 고문과 쇄신연대 의원들을 압박하려는 측면이 강하다.

특위 관계자는 2일 "쇄신연대 쪽에서 '정치일정보다 당 쇄신이 먼저'라고 자꾸 말하는데 군소리가 안 나오도록 현실적인 범위 내에서 가장 혁신적인 당 쇄신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야만 쇄신연대보다 명분에서 앞설 수 있고 전당대회 시기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가 쇄신연대를 향해 견제구를 던지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협(李協)사무총장은 쇄신연대가 한광옥(韓光玉)대표와 특위의 공정성을 문제삼은 것에 대해 "(특위나 당이)공개돼 있고 쇄신연대 쪽의 대표적인 인사들도 참여하고 있는데 왜 그런 불만이 나오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특위 간사인 김민석(金民錫)의원은 "구체적인 시행방식까지는 논의되지 않았지만 상향식 공천이 필요하다는 대원칙엔 합의했다"며 "그 경우 중앙당은 지구당 심사를 전후해 최소한의 검증기능만 갖게 된다"고 말했다.

또 金의원은 "비례대표 의원도 당내외 인사가 절반씩 참여하는 후보선정위원회를 구성해 후보를 3배수로 선정한 뒤 5백~1천명 규모의 선거인단이 투표를 통해 순위를 확정토록 하자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상향식 공천제도가 정착되면 '1인 보스 중심체제'인 한국정치에 혁명적인 변화가 올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특위가 韓고문과 쇄신연대를 지나치게 의식해 충분한 의견수렴과 현실성 검토를 충분히 하지 않고 성급하게 발표하고 있다는 지적도 당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