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끼 읽끼] 언어교육 관점의 독서지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통적인 독서지도와 총체적 언어교육 관점의 독서지도 방법은 무엇이 다를까?

우선 글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이 다르다. 전통적 독서 방법은 책머리의 첫 낱말부터 읽어 부분의 뜻을 이해하며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는 독서 활동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총체적 언어교육 관점의 지도 방법은 '대의→부분 내용→전체 의미 파악'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또 한가지 다른 점은 전통적 방법은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라'는 식으로 결과 중심인데 비해 총체적 언어교육 관점에선 독서의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장편 동화 『백조의 트럼펫』(엘윈 브룩스 화이트 지음, 프레드 마르셀리노 그림, 윤여숙.김경희 옮김, 어린이중앙)을 이같은 방법으로 읽어보자.

어린이가 책을 읽기 전에 표지 제목과 그림을 보이고 내용 전체를 예측하도록 한다. 그런 뒤 주인공이 루이라는 벙어리 트럼펫 백조이고, 배경은 캐나다와 미국 몬태나라는 사실을 알린다. 어린이가 이러한 읽기 전 활동에 호기심을 보이면 책을 읽혀도 된다.

그러나 반응이 시원치 않으면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줄거리를 알려준다. 뒤이어 들은 내용만 가지고 이야기의 배경, 주인공과 등장인물들의 성격, 주인공에게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 등을 예측.추론하며 토의를 한다.

본격적으로 독서하기에 앞서 궁금증을 유발하기 위해 전체 목차를 훑어 읽게 하고 각 항목 옆에 질문을 적게 한다. 가령 목차의 첫 항목인 '샘의 비밀' 옆에 '샘과 루이 사이에 어떤 비밀이 있을까?' 등의 질문을 적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궁금증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속도감이 생기고 독해력도 향상된다.

<활동중심언어연구소장>

◇ 조기독서 프로그램 책끼읽끼(http://www.readingcatch.com)

구독 및 독서 상담 02-379-1919.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