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전국 대학 평가] 연·고대 기부금 1·2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올해 재정부문 평가에서는 대학의 교육비.시설투자비 등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등록금에 의존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학생들이 대학과 등록금 인상을 놓고 극심하게 대립했지만 실제로 학생들에게 돌아간 재정적인 혜택은 줄어든 것이다.

특히 각 대학의 시설투자 위축은 경기침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국.공립대〓대부분 대학은 학생 모집에 아직까지 큰 어려움이 없었다. 전체 25개대의 학생 충원율(편제정원 대비 등록학생 수)은 97%로 사립대 평균(93%)보다 높았다.

사립대보다 등록금이 싼 특성 때문에 국.공립대의 교육비 환원율(전체 교육비를 등록금 수입으로 나눈 것)도 평균 2백97%(등록금의 2.9배를 교육비로 되돌려 받음)를 기록, 사립대 평균(1백53%)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국.공립 25개대의 교육비 환원율은 지난해보다 모두 감소했다. 이는 세입에서 차지하는 등록금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국립대의 지난해 등록금 수입은 대학별로 전년도에 비해 11.1~37.5%까지 늘어났다. 기성회비를 높인 탓이다.

◇ 사립대〓정부의 '두뇌한국(BK)21' 사업 지원비 8천여억원이 사립대에 투자된 데다 기부금 수입이 크게 늘면서 대학마다 재정 사정이 크게 달라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고려대는 기부금 증가액이 1위였다. 99년보다 1백16억원이나 늘어난 6백67억원을 기록해 연세대(6백87억원)에 이어 기부금 총액에서 2위를 차지했다.

고려대는 이에 따라 학생 당 교육비(98만원 증가).시설비(3백65억여원 증가) 등에서 높은 평점을 받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사립대도 역시 세입 중 등록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69%(99년 62%)로 올라가 재정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여대는 지난해 9백11억원을 시설비로 투자해 이 부문 1위를 기록했다.

<2001년 대학평가팀>

▶팀장 : 이하경 차장▶종합평가 : 강홍준.이후남.김준술 기자▶경제학과 : 김원배 기자▶약학과 : 박소영 기자▶정치외교학과 : 하현옥 기자▶건축학과 : 이경희 기자▶경영대학원 : 김창규 기자▶설문조사 : 안부근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