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성적표' 기업들 울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로 기업들의 실적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17일 증권거래소와 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사 544개사의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총매출액은 145조원으로 1.4%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5.5%와 2.8%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의 실적 둔화 흐름이 2분기에 이어 지속됐다. 1000원어치를 팔아 낸 영업이익도 1분기 119원에서 2분기 111원, 3분기 100원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9월 말 현재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92.9%로 사상 최저치로 낮아졌다.

한편 코스닥시장 등록기업 701개사는 3분기 매출은 2분기보다 1.3%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1%와 1.9% 증가했다.

◆ 금융업은 신바람=제조업 534개사는 3분기 중 매출이 1.6% 줄고, 영업이익도 11.4% 감소했다. 이에 비해 금융업 10개사(은행 8개)는 매출이 2%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이익은 급증했다. 영업이익이 467.1%, 순이익은 604.7%나 늘어났다. 상장사협의회 김성현 과장은 "금융업종의 실적개선은 카드사태 해결로 대손충당금 부담을 털어낸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3분기엔 내수와 수출 기업 실적 증가세가 모두 꺾였다. 대신 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라 철강.화학 등 소재산업의 실적은 더 좋아졌다. 새로운 형태의 양극화가 나타난 셈이다. 업종별로는 건설과 자동차, 전기전자 등의 실적 악화가 두드러졌다.

◆ 기업별 명암=10대 그룹 중 3분기 순이익이 2분기보다 늘어난 곳은 SK.한진.롯데.금호아시아나 등 4곳이었다. 해운.항공.정유화학 업종 등의 활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됐다. 삼성.LG.현대자동차 등 빅3 그룹의 3분기 순이익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개별 기업 중에선 하이닉스 반도체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졌다. 하이닉스는 지난해 1~9월 1조3311억원 적자에서 올해는 1조5063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을 가장 많이 낸 기업은 강원랜드로 이 비율이 49.9%나 됐다.

3분기 실적엔 최근의 원-달러 환율 급락 흐름이 반영되지 않았다. 증시 분석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정보기술(IT) 업종의 경기 하강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본다. 내수 부진도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