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보훈공단 '술집 간담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국회 정무위는 13일 보훈복지의료공단을 감사했다. 국가유공자의 보건.의료를 책임진 기관이다. 조만진(趙萬進)이사장은 관련 경력이 없는 정당 출신이다. 그는 국민회의(민주당 전신) 사무부총장을 지냈다.

국감장에서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은 업무추진비를 문제삼았다.

"조합장 간담회를 카바레에서도 하나" , "샤넬이란 업소에 무려 18번이나 갔다. 한달에 세번 간 적도 있고 한번에 82만원을 쓴 적도 있다. 여기 유흥업소 아니냐" , "趙이사장이 새벽 1시에 유흥업소에서 결재했던데 술 먹으라고 준 예산이냐" 고 쏘아붙였다.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의원은 공단이 내년부터 실시하는 인터넷 복권의 사업자 응모와 선정 과정을 상세히 비판했다.

"7개 업체가 각각 1천페이지가 넘는 사업신청 제안서를 냈는데 오후 한나절 검토한 뒤 바로 우선협상 업체를 선정했다" , "선정과정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겠다고 하고 안올렸다. 선정결과에 자신이 없어 거짓말 한 게 아니냐" , "선정위원 7명 가운데 과반수인 4명이 공단 직원이다. 이런 위원회가 어디 있나" .

이같은 지적에 趙이사장은 고개를 들지 못했다. 그의 입에선 "잘못했다" "지적이 맞다" "죄송하다" 는 말만 십여차례 반복해서 나왔다.

李의원이 "선정업체가 자본잠식 상태다. 대기업과 컨소시엄 계약을 했다지만 일부 계약서엔 날짜도 없었다" 고 하자 趙이사장은 "몰랐다" "구경도 못했다" "계약서까진 확인 못했다" 고 했다. 그리곤 "책임을 통감한다. 모든 문제를 재검토하겠다" 고 답변했다.

민주당 조재환(趙在煥)의원은 접대성 경비 초과지출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감독을 책임진 이재달(李在達)보훈처장에게 "공단운영이 너무 방만하다. 외부 회계기관에 맡겨 감사하라" 고 요구했고, 李처장은 "그렇게 하겠다" 고 말했다.

한마디로 공단은 흥청망청, 주요 업무는 졸속에 의혹투성이었다. 책임자인 이사장은 이를 방조했거나 공단 돌아가는 사정을 아예 모르고 있었다. 의원들은 "낙하산 인사 폐해인 무책임.무소신.무능력의 전형을 봤다" 고 지적했다. "국가유공자를 위한 공단이 아니라 직원을 위한 공단" 이라는 개탄도 들렸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