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공부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강유경 JEI재능교육 한자팀장

우리말의 70% 이상은 한자어로 돼있다. 따라서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려면 한자 교육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한자를 가르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자 공부는 어릴 때 시작할 수 있다. 한자는 글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통해 글자를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표의문자인 한자는 발생의 근원이 그림이고, 글자 모양도 회화적 성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 발달 정도를 고려해 처음에는 자원 그림에서 자형을 익히고 후에 한자의 뜻이나 음을 익히게 하는 것이 좋다.

한자를 공부할 때는 우선 쉽게 알 수 있는 상형자부터 시작해야 한다. 사람의 신체나 사물, 가족 등을 뜻하는 글자를 먼저 가르치는 것이 좋다. 획수가 적은 山(산), 川(천) 같은 상형자부터 시작해, 한 획이나 두 획 정도 획수가 늘어나는 상형자(火, 木)를 익힌다. 그림을 보여주고, 그 그림이 글자가 되는 과정을 제시하면서 그림이 변해서 글자가 되는 과정을 살피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미있고 흥미롭게 구성된 교재를 선택하라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교재는 급수에 맞춰 글자를 나열하고 설명한 뒤 순서대로 쓰고 외우도록 구성돼 있다. 이런 교재는 오히려 학습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의 그림과 해당 한자를 연결해 한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포괄적인 지능과 인성 발달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놀이적, 지적 체험이 가능한 교재를 선택해야 한다.

오감을 이용할 수 있는 교재를 선택하면 더욱 좋다. 동화책 형식이나 이야기식 구성 등 특별한 형태를 띤 경우 한자에 대한 친밀감이 더욱 높아지고, 국어 학습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자능력자격검정을 적절히 활용하라

외운 한자는 브로마이드나 글자카드 형태로 잘 볼 수 있는 곳에 붙여 두는 것이 좋다. 한번 공부하고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자극과 기억으로 학습 부담 없이 한자를 익힐 수 있다.

어느 정도 한자를 익히고 나면 한자능력자격검정에 꾸준히 응시해 학습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해보는 것이 좋다. 쉬운 급수부터 단계적으로 응시하면 동기부여는 물론, 상위 급수를 위한 명확한 학습 목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공인 급수를 획득하고 난 후에는 이미 학습한 한자를 잊지 않도록 한자일기 쓰기나 한자 서적 읽기 등을 통해 한자 사용을 생활화 해 나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