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연합뉴스 "소유구조 개편 쉽지않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대한매일과 연합뉴스가 소유구조 개편을 위해 사력(社力)을 집중하고 있다.

재정난을 타개하고 편집권.인사권을 정부에서 독립시켜 제대로 된 언론사로 거듭나겠다는 것이 소유구조 개편의 목표다. 두 언론사는 정부.정치권 등을 상대로 여론 확산에 나서 '총론' 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일이 성사되려면 '각론' 에서 해결해야 할 쟁점이 남아 있다.

◇ 대한매일=하루 6천만~7천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어 민영화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자본금을 50% 감자(減資)한 후 1백% 유상증자하겠다는 것이다. 지난달 10일 김한길 문화관광부장관이 국회에서 민영화에 긍정적 입장을 밝힌 이후 개편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주주인 정부는 국유재산인 대한매일 주식을 처분하는 데 신중하다. 공청회를 열어 여론을 수렴한 뒤 공매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한매일은 정부가 곧바로 특별 주총을 열어 감자를 결의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1천6백억원의 부채를 해결하는 것도 숙제다. 부채를 그대로 안고 가면 민영화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대한매일 관계자는 "정부가 알아서 해결해주길 바라고 있다" 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 예산을 언론사의 부채 탕감에 사용하는 것은 국민정서에 맞지 않고 특별법을 제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우리사주조합이 유상증자에 참여해 최대 주주가 되는 것도 간단치 않다. 직원 한명이 2천만원 이상 내야 하며 주식을 인수해도 '주인없는 회사' 가 되면 자칫 경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대기업을 주주로 영입해 '깨끗한' 자금을 끌어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사내에서 설득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언론에 뛰어들 기업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 고민이 있다.

민영화 추진과 맞물려 사측은 인건비를 40% 줄여 경영합리화를 추구할 계획이지만 사원들이 이견을 보여 난항이 예상된다.

◇ 연합뉴스=연합뉴스사 법안(가칭)이 이달말 의원입법 형식으로 국회에서 발의될 예정이다. 연합뉴스위원회가 KBS.MBC 소유지분 74.49% 중 49%를 넘겨받아 최대 주주가 돼 편집권과 인사권을 정부에서 독립시키는 게 이 법안의 핵심이다. 정부와 구독료 협정을 해 재정 안정을 꾀한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여야 의원 40여명이 국가 기간(基幹)통신사의 필요성에 공감해 정기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그러나 법 제정 이전에 풀어야 할 몇가지 문제가 있다. 유재천(劉載天)한림대 교수는 지난달 한 토론회에서 "연합뉴스위원회가 여당 지향적 인사나 전문성이 부족한 인사로 구성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정부와 구독료 협정을 해 수입의 상당부분을 확보하면서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나겠다는 점을 국민에게 납득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특혜시비가 벌어질 우려도 있다. 지난 6월 대법원은 통신사의 복수시대를 여는 판결을 내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경쟁을 장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특정 통신사를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어떻게 비춰질지 의문" 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연합뉴스측은 "특별법을 제정한다는 것은 공공의 이익에 맞게 연합뉴스를 통제하겠다는 뜻이므로 특혜시비는 말이 안된다" 고 말했다.

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