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지원 문제 한 · 미 분쟁 가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하이닉스반도체 지원 문제가 한.미간 무역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하이닉스 회사채 만기를 3년간 무보증으로 연장해 주라는 채권단의 요구에 투신사들이 크게 반발하는 등 상황이 꼬여가고 있다.

미국의 도널드 에번스 상무장관은 최근 장재식(張在植)산업자원부 장관 앞으로 서한을 보내 한국 정부가 하이닉스의 출자전환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에 대해 큰 우려를 표시했다고 FT는 전했다. 하이닉스 채권은행(외환.한빛.조흥.산업은행 등)의 대주주가 한국 정부이기 때문에 미국이 이런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다.

에번스 장관은 또 이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덧붙였다. 하이닉스의 주요 경쟁사인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몇달 전부터 "하이닉스가 수출하는 반도체 칩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라" 고 자국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한편 외환은행은 23일 투신협회에서 한국.대한.현대.교보.조흥.서울투신 등 7개 투신사 사장단을 만나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1조6천억원 중 투신 보유분 1조2천억원에 대해 전액 무보증으로 3년간 만기를 연장해 달라고 요청했다. 채권단은 또 현재 12.5%인 발행금리도 절반인 6.25%로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투신사들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 이라고 반발했다. 당초 만기연장 금액 중 6천억원을 보증키로 했던 서울보증보험이 보증 불가 입장으로 돌아선 상태여서 채권단안을 받아들일 경우 무보증으로 떠안아야 할 금액이 8백억원에서 1조2천억원으로 급증, 위험이 너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히 최근 법원이 정부 요청에 따라 대우 회사채를 인수했던 투신사에 손실 책임을 물린 점도 상기시키며 불가 입장을 밝혔다.

나현철.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