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민련 의장도 방북 신청했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평양민족통일 대축전에 참가한 소속간부 5명이 북측과 사전 교신 등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국정원 조사를 받고 있는 조국통일민족연합(범민련) 남측본부는 당초 이종린 의장도 방북을 신청했으나 당국에 의해 불허된 것으로 드러났다.

범민련측은 수사를 받고 있는 김규철 범민련 부의장 등이 평양 축전기간 동안 북측 등과 연석회의를 가진데 대해 남측본부 차원의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범민련 간부는 22일 북측과의 사전 교신 혐의에 대해 "남측본부 차원에서 협의가 없었던 개인적 활동" 이라며 "사전에 북측본부와 교신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방북 간부들의 '위장 참가' 의혹에 대해서도 "당국이 범민련 명의의 참석을 불허한다고 해 각자 활동 중인 다른 단체의 명의로 신청서를 내 정부의 승인을 받은 것" 이라고 말했다.

범민련은 조국 통일을 위한 범민족대회 개최 명목으로 1990년 11월 남북한 및 해외동포 재야단체 3자가 베를린에서 회담을 통해 탄생시킨 단체.

최고 의결기구인 범민족회의 산하에 남측본부.북측본부와 해외동포본부 등 3개 본부로 구성됐다.

범민련 남측본부의 경우 91년 준비위가 구성된 뒤 95년 2월 정식 결성됐다.

그러나 발족 때부터 연방제 통일방안 지지, 미군 철수 등을 내세우는 바람에 97년 대법원으로부터 이적 단체라는 판결을 받았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