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국가는 이들을 영원히 기억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침몰 원인에 대해선 “이미 국제 협력 속에 원인규명과 진상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철저하고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국민과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전날 서울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김태영 국방부 장관에게서 관련 보고를 받았다고 한다. 특히 김 장관이 “조사작업에 동참한 미국 측 단장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출신의 최고 권위자로, 월터 샤프 주한미군사령관도 ‘이 사람은 천재’라고 말했다”고 보고하자 “그렇게 권위 있는 사람이라면 신뢰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긴장하는 정치권=여야는 이날 천안함 함미 인양 상황을 지켜보며 시신 추가 수습, 그리고 절단면 공개로 벌어질 침몰 원인에 대한 논쟁이 불러올 파장 등을 고민했다.

한나라당은 “철저한 원인 규명이 우선”이라며 차분한 대응을 강조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민·군 합동조사단은 국내외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만큼 더 이상 불필요한 의혹 확산을 자제하고 조사단의 조사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회 국정조사특위 구성을 요구하며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이강래 원내대표는 “군사기밀 못지않게 국민의 알 권리 충족도 중요한 만큼 공개할 것은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민·군 합동조사단이라지만 군 중심으로 가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국회가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에 대해 한나라당은 북한 책임론이 거론될 경우 보수층이 결집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천안함의 사고 원인이 어찌됐건 국가 안보에 큰 구멍이 뚫렸다”(민주당 우윤근 원내수석부대표)는 논리로 한나라당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서승욱·백일현 기자

[약력] 잠든 채 돌아온 영웅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