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폭발물 잔해 3단계 수거 박차 … 로봇팔 달린 ‘해미래호’ 오늘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군 당국은 수중 잔해 수거를 3단계에 걸쳐 진행한다. 1단계는 기뢰탐색함과 심해잠수사를 활용해 잔해물의 위치를 확인한 뒤 대형 잔해물을 우선적으로 수거하는 과정이다. 탐색 범위는 침몰한 곳에서 백령도 연안까지다. 이를 위해 해군은 기뢰탐색함 4척과 잠수사 38명을 침몰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 잠수사 중에는 미 해군 소속 10명도 포함돼 있다. 기뢰탐색함은 음파탐지기(소나)와 가변심도음탐기로 해저에 가라앉은 50㎝ 크기의 금속 파편까지 찾아낸다. 어뢰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기뢰는 강철로 돼 있다. 군 연구기관 관계자는 “천안함을 침몰시킨 폭발물이 어뢰나 사출형 기뢰일 경우 스크루나 로켓 모터가 그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13일 현재 수중에서 잔해물 4종 4점을 수거했으나 아직 어뢰나 기뢰 등 무기로 추정되는 파편은 찾지 못했다. 천안함 잔해라는 것이다.

2단계는 폭발 지점의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하는 작업이다. 15일부터 진행된다. 여기에는 청해진함(만재 시 4300t)과 무인탐사정 ‘해미래호’가 투입된다.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을 모함으로 운영될 해미래호는 수심 6000m까지 탐사를 할 수 있는 최신 장비다. 해미래호에 장착된 심해저 촬영장비와 음파탐지기, 로봇팔 등으로 폭발물 잔해를 찾아 수거한다는 것이다.

마지막 3단계는 쌍끌이 저인망 어선으로 바다 밑을 훑는 작전이다. 이것은 함미와 함수를 모두 인양한 뒤에야 가능하다. 군 당국은 백령도 인근 해역에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된 어족 자원이 분포돼 있는 점을 고려해 어민들과 협의한 뒤 쌍끌이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쌍끌이 작업을 통해서도 폭발물을 규명할 결정적인 단서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준설선을 투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침몰 장소를 중심으로 해저 바닥을 30∼50㎝가량 파내기 위해서다. 땅속에서 유물을 발굴하듯이 파낸 뻘 속에서 폭발물 잔해를 찾겠다는 것이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