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도화선 김주열 열사 50년 만에 장례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됐던 김주열 열사의 장례식이 50년 만인 11일 경남 마산중앙부두에서 열렸다. 김열사의 운구행렬이 마산중앙부두를 출발해 3·15의거탑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던 김주열 열사의 장례식이 50년 만인 11일 경남 마산중앙부두에서 열렸다. 마산중앙부두는 1960년 4월 11일 마산상고 입학 예정이던 김 열사가 오른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시신으로 떠오른 곳이다.

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대표 백남해 신부) 주관으로 열린 이날 범국민장에는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열사의 작은 누나인 김경자씨는 가족인사에서 “제 동생 주열이를 50년 전 고향에 그냥 매장했다”며 “범국민장으로 장례를 치러주신 마산 시민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함세웅 이사장은 조사에서 “50년 전에 바로 이 앞바다에서 참혹한 주검으로 떠오른 김주열 청년은 새롭게 부상한 선구자로 우리 앞에 다가왔다”며 “김주열 열사 희생을 통해 이룩한 4·19혁명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꽃이 활짝 피었다”고 추모했다.

김 열사의 운구 행렬은 마산중앙부두를 출발해 마산시청을 지나 3·15의거탑 앞에 도착했다. 3·15의거와 4·19혁명에서 목숨을 잃은 열사들의 사진과 추모의 글귀가 담긴 200여 개의 만장이 둘러쌌고, 시민들의 헌화가 계속됐다. 이어 운구는 김 열사의 고향이자 묘소가 있는 전북 남원을 향해 차량으로 이동했다.

마산=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