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유화 자금지원 해결 실마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자금난을 겪고 있는 현대석유화학에 대해 채권단이 단기 유동성을 지원하는 문제가 해결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현대유화 노조는 6일 주채권 은행인 한빛은행에 구조조정 동의서를 제출했다. 노조측은 "원료가 바닥나 곧 공장을 세워야 하는 회사의 위기를 감안, 대의원 회의를 거쳐 동의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고 밝혔다.

이에 앞서 박원진 대표 등 현대유화 경영진 12명도 지난 5일 채권단에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이로써 채권단이 현대유화에 6천2백21억원을 지원하는데 전제조건으로 걸었던 ▶현 경영진의 퇴진▶노조의 구조조정 동의서 제출▶대주주 완전감자 등 세가지 사항 중 두가지가 충족됐다.

남은 대주주들의 완전감자 문제도 현대건설(지분율 11.63%)이 조만간 감자동의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여 해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대유화 관계자는 6일 "그동안 감자에 따른 손실이 크다며 동의서 제출을 주저했던 현대건설이 채권단의 설득으로 동의 쪽으로 돌아선 것으로 안다" 고 말했다.

현대유화의 대주주 가운데 현대중공업(지분율 49.87%).현대종합상사(6.95%).현대미포조선(3.04%).하이닉스반도체(1.60%) 등은 이미 완전감자에 정식 동의한 상태며, 현대건설이 동의할 경우 완전감자에 동의한 지분율은 73.09%로 늘어난다.

이럴 경우 감자결의에 필요한 주식 정족수(3분의 2)를 넘게 돼 아직까지 동의서 제출을 거부하고 있는 현대자동차.현대산업개발.현대백화점 등이 반대하더라도 채권단은 완전감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주주들의 감자동의서 제출이 마무리되면 이르면 다음주 초에 자금 지원이 시작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부 대주주들이 '완전감자가 현대유화에 대한 증여로 해석될 수 있어 추후 세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는 이유로 망설이고 있지만 검토 결과 아무런 법률적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고 덧붙였다.

유동성 지원이 예정대로 이뤄질 경우 현대유화의 경영을 정상화시킨 뒤 제3자에게 매각한다는 채권단의 계획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현상.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