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은 꼭] "부산 전통예술 보여줄 공연장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시내 민속예술과 국악을 하는 사람들은 공연 한번 하려면 이곳 저곳을 찾아다녀야 겨우 공연장을 확보할 수 있다.

전통예술을 보여줄 수 있는 전용 무대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연을 자주 하지 못한다.민속예술이나 국악을 하는 사람 끼리 모여 1년에 1∼2차례 공연을 할 뿐이다.

국악인들은 "4백만이 사는 도시에 전통예술을 보여줄 수 있는 전용 무대가 없는 게 말이 되느냐"며 민속국악원 건립을 부산시와 문화관광부에 요구하고 있다.

민속국악원이 있으면 관광객과 시민들은 연중 전통예술을 접할 수 있다.예술인들은 음악·무용·노래 등 전통예술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좋다.

부산대 국악과 백혜숙(白惠淑)교수는 "부산에도 훌륭한 전통예술이 많이 있지만 보여줄 수 있는 무대가 없다"며 "민속예술과 국악은 비싼 입장료를 받고 공연할 수 없기 때문에 자치단체나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통예술계는 민속국악원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연간 부산을 찾는 1백20만명의 관광객에게 연중 무대공연을 펼쳐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의 민속은 마당놀이 위주의 예술이다.좁은 마당에서 공연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느끼고 즐길 수 없다.그래서 민속국악원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당놀이도 많은 사람들이 감상하려면 무대화해야 한다.예를 들어 전통 춤도 좋은 음악과 함께 어우러져야 더 좋은 예술이 된다는 것이다.

白교수는 "마당놀이를 무대화하는 작업은 개인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민속국악원 같은 기관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민속국악원이 생기면 문화회관처럼 고정 단원이 구성되는 등 전통예술 인력이 확보된다.

한국국악협회 김정애(金貞愛)부산지회장은 "인재를 키워도 설 무대가 없으니 서울이나 호남지역으로 떠난다"며 "민속국악원은 예술인이나 시민을 위해 반드시 설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재정 형편상 국가의 도움을 받아 민속공연장·전수관·민속마당·주차장을 갖춘 민속국악원을 지을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진구 연지동 옛 유솜(미국대외원조처) 부지를 민속국악원 부지로 제공키로 하고 문화관광부에 건축비 4백억원을 요청해놓고 있다.

부산시 안준태(安準泰)문화관광국장은 "지역의 전통예술 발전과 관광객유치를 위해 민속국악원은 필요하다"며 "예술인들의 뜻을 받들어 민속국악원이 건립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용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